[김강중 칼럼] 김강중 국장 겸 대전본부장

결론부터 말하자. 대전교육은 형해화 된 지 오래다.

수일 전, 중학생 학교 폭력이 논란이 됐다. 동급생을 집단 폭행하고 동영상을 'SNS'에 올렸다. 세 달 전 이런 사실을 피해 학생과 부모는 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

하지만 경찰은 가해 학생들을 입건하지 않았다. 교육청과 경찰이 등한시하다 2차 피해로 번졌다. 대전교육청은 기자회견을 열고 '학폭' 예방과 피해학생 보호 방안 운운하며 뒷북이다. 돌아보니 대전교육청을 오랫동안 출입했지만 미덥지 않아 시교육청과는 가급 거리를 두려고 애를 썼다.

거리의 간극 만큼 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대한 제보가 쇄도했다. 가감 없이 보도했고 조치사항을 확인했다. 마지못한 감사는 되레 피해자를 울렸다. 이렇듯 교육청의 잘못을 지적하면 호도하기에 급급했다. 늘 제 식구 감싸기였던 것이다. 하나같이 교육청의 비리, 일선 학교 위계의 갑질이 태반이었다.

예컨대 '왕수'를 받아야 하는 교감, 부장교사와 기간제, 방과 후, 지킴이 교사 등에게 행해지는 유무형의 갑질이다.

또한 급식납품 커넥션, CCTV, 공기청정기, 급식 오븐기, 창호 공사, LED 교체 등 의혹이 난무했다. 무상지급 30만 원의 교복비 중 하복과 생활복 선택의 비리도 무성하다.

그러니 '행복한 학교, 희망의 대전교육'은 허울 좋은 수사(修辭)가 아닐 수 없다. 그러고도 아이들에게 올바름을 강조하니 소가 웃을 일이다.

일련의 비리는 학생 폭력과 무관치 않다. 두달 전 퇴직한 어느 중학교 여교장의 금융사건은 좋은 실례다. 그는 두 번의 교장과 한 번의 교감, 장학사를 지냈다.

재임 당시 직위를 이용해 1억여 원의 돈을 교사와 직원들에게 빌렸다 한다. 기간제 교사, 승진 예정자, 표창장 수여자가 주된 대상이었음은 물론이다.

사건이 불거지자 교육청 감사관실은 이 학교 감사에 나서 8천만 원의 차용금을 파악했다. 그런 뒤 교장에게 '경고'와 변제의 확약서만 받은 뒤 퇴직의 면죄부를 주었다. 또 다른 학교의 피해사실을 묻자 징계 시효가 3년 이어서 더 이상 파악은 필요치 않다는 답변이다. 감사 관계자는 '아는 사람에게 돈을 빌리지 모르는 사람에게 돈을 꿀 수가 있느냐'고 역성이다. 또 '수사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통장을 까 볼 수도 없는 일'이라고 항변이다. 그들은 팔이 부러져도 안으로 휘었다.

뿐이랴. 2년 전 9월쯤으로 기억된다. 둔산의 한 중학교 일이다. 문제의 갑질 교장은 지킴이 교사 3명을 일방적으로 해촉했다. 부당한 사실이 보도되자 교육청은 마지못해 요식감사를 실시했다. 감사실은 '지킴이 교사 해촉은 학교장 재량이니 이의제기도 교장에게 하라'고 무책임한 답변을 늘어놨다. 피해자는 교장을 권익위에 고발했고 징계를 받았으나 오히려 영전했다.

그즈음, 한 실업계 고교에서 교장의 여교사 성희롱 사건이 발생했다. 교육청의 맹탕감사는 거듭됐다. '교장 임면권은 학교법인에 있으니 법인에 조사사항을 권고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들의 내밀한 폭력은 끝이 없다. 학생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여성 장학관의 사례다. 그녀는 전직 교장과의 내연관계로 한 가정을 파괴했다. 그런데도 교장과 장학관 등 요직에 올랐으니 이런 '망사(亡事)'도 없다. 학생들의 폭행이나 장(長)이 지위를 남용한 갑질이나 견준다면 폭력과 다름없다.

언론이 양심을 버리면 사회는 병들게 마련이다. 교육도 양심을 외면하면 학교는 희망이 없다. 자식이 부모의 얼굴이듯 학생은 교사의 얼굴이다. 그렇다면 오늘의 학생들 폭력은 어디서 기인한 것인가.

김강중 국장 겸 대전본부장
김강중 국장 겸 대전본부장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