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이 최근 잇단 국가사업 유치 등으로 지역발전에 호기를 맞았다며 다소 들떠있는 분위기다. 호남고속철도 오송 분기역 유치에 이어 충주가 지식기반형 기업도시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충북은 오송∼오창∼충주∼제천,단양을 연결하는 첨단지식산업벨트를 형성하게 되었다.

충주 기업도시는 주덕읍 일대 210만평의 부지에 오는 2012년까지 3천86억원을 들여 생명공학센터, 건설기술연구소, 영어체험마을 등이 들어선다. 또 기업도시가 건설되면 지역개발에 따른 지방세 수입을 비롯 인력고용효과, 인구 유입효과 등 지역발전이 기대된다.

그러나 기업도시 선정은 이제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첫 단추를 꿴것에 불과하다. 때문에 섣불리 장밋빛 청사진만 기대했다간 낭패를 볼수 있다. 무엇보다도 기업도시는 정부가 추진하는 혁신도시와 다르다는 사실을 직시해야한다. 기업도시는 말 그대로 민간기업이 도시계획-토지 매입-개발에 이르는 전 과정을 주도해 건설하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즉 행정중심복합도시나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은 정부가 법을 만들어 강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기업도시는 순수하게 기업이 판단할 문제로, 장사가 안 될 것 같으면 슬그머니 발을 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컨소시엄 업체에는 투자력이 풍부한 대기업은 다 빠져있다. 시범지역 사업자들이 대부분 중견기업들이어서 막대한 재원마련 방안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자체들이 기업도시 건설사업에 추가로 대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지 못할 경우 사업시행의 효과가 의문시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 부동산 가격도 기업도시 건설에 커다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충주지역의 경우도 수도권 기획부동산이 대거 유입되면서 올들어 5월말까지 땅값이 2.62%나 상승하는 등 땅값을 뒤흔들어 놓았다. 아직도 충주지역의 지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는 하지만 지가가 급등할 경우 기업도시 추진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지자체의 지가 관리도 중요한 대목이다.

이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경쟁력있는 민간기업들이 기업도시 건설에 적극 참여해 낙후지역을 개발하고 지역균형발전을 꾀하는 등 기업도시 건설의 성공을 돕는 일에 게을리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해 경쟁력 있는 기업이 참여해 충주 기업도시가 성공모델이 될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해야한다. 기업이 없는 기업도시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