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충북 청주시 LG생활건강 청주공장에서 열린 뷰티산업 현황방문에서 화장품을 얼굴에 발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집중 육성 방침을 밝힌지 한달도 안돼 'K뷰티 육성' 관계부처 지원방안이 발표됐다. 발걸음이 빠르다는 것은 그만큼 관심이 크다는 것이다. 더구나 화장품 등 우리 뷰티산업을 세계 3대 수출국가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니 속도를 낼 만하다. 수출 9조원, 100대기업 7곳, 신규 일자리 7만3천개 등 목표도 상당하다. 문제는 이같은 지원방안을 누가 어떻게 소화해 내냐는 것이다. 지금껏 한발 앞서 K뷰티를 이끌었던 충북으로서는 놓칠 수 없는 기회다. 정부차원 대규모 엑스포도 그렇고, 인력육성을 포함한 클러스터 구축 또한 그렇다.

대규모 K뷰티 엑스포가 오송에서 열린다면 그 파급효과는 상당할 것이다. 국비 지원 등 안정적인 행사 운영은 물론 국내 화장품·뷰티산업의 거점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거꾸로 다른 지역에서 열릴 경우 오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대규모 엑스포를 치를 행사장소다. 현재 추진중인 청주전시관의 수용 가능성 여부를 냉정하고 면밀히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기업 위주로 신제품 시장검증 장으로 주목받는 오송엑스포가 그동안 쌓아온 입지도 고려해야 한다.

더구나 정부가 엑스포와 클러스터를 한 지역에 몰아줄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행사 진행 효율성을 들고 나온다면 충북으로서는 분루를 삼켜야 할 처지다. 글로벌 경쟁에 나선 K뷰티에 대해 국가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힌 만큼 현실적으로 생산부분의 산업인프라 확충과 홍보 등 브랜드 제고를 하나로 묶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충북은 이를 고려한 선택을 해야 한다. 현재 진행중인 오송화장품산업단지 조성과 국제 K뷰티스쿨 설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K뷰티 클러스터 구축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지난 2013년부터 시작돼 벌써 7번째 행사를 치른 오송화장품뷰티엑스포를 도외시해서는 안된다. 오송엑스포는 그것대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그 가능성도 충분하다. 올해 행사의 경우 그동안 이뤄졌던 수출상담 등 기업간 거래에서 소비자를 위한 엑스포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해외방송과 관계자들의 방문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의 시험장으로, 중소기업의 폭넓은 참여를 바탕으로 다양한 신제품 시장검증 기회로의 가능성을 증명했다. 즉, 뷰티산업의 내일을 살펴보고, 이를 여는 자리로 매김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의 'K뷰티 육성', 특히 K뷰티 클러스터에 주목하는 까닭은 충북이 전국 생산량의 34.4%, 수출의 25.1%를 차지하는 산업 규모와 비중 때문이다. 더구나 지난해에만 업체수 4.4%에 생산규모 30%, 수출량은 56%가 증가했다. 한마디로 전국대비 산업 비중이 크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화장품산단에 이어 오송3단지가 들어서면 그 규모와 비중은 더 커질수 밖에 없다. 여기에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등의 지원시설이 갖춰지면 전국 어느 곳보다 집적화와 효율성에서 앞서게 된다. 뷰티산업의 특성상 시장대응 등 속도가 관건이다. 이제 오송에 클러스터란 날개를 달아줘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