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칼럼]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장·충북산학융합본부 원장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본격화됐다. 지난 12월 4일 현장조사가 실시되었으며 2020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2021년 국가산업단지계획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충북도는 오송 제3생명과학단지를 바이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생성, 집적, 성장을 촉진하는 글로벌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오송은 이미 지역적 경계를 넘어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바이오헬스산업의 중심지였다. 최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업을 위한 입지정책 연구' 결과에는 혁신성장기업 클러스터의 북방한계선으로 서울 종로와 중구, 남방한계선으로는 충남 천안 북구라고 결론짓고 있지만 바이오헬스산업의 남방한계선이 오송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1, 2생명과학단지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는 튼실한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혁신기업 입지 연구는 기존 산업분류가 아니라 기업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오송의 특화된 입지적 강점은 부각되기 어려웠다. 결국 바이오헬스산업에 중점을 둔 연구 결과와는 거리가 멀다는 한계를 갖는다.

오송은 지역적으로나 국가적으로 특별한 장소성을 갖는다. 충북의 바이오산업을 싹틔운 곳으로서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이라는 장기 비전의 한 축을 담당한다. 전국적으로 차별화된 첨단의료산업의 메카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해왔다. 지난 5월에는 국가 비전인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전략'이 오송에서 선포되면서 혁신성장의 새로운 힘을 모아야하는 임무를 부여받기도 했다.

산업입지정책은 시대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국가경쟁력 강화' 또는 '균형개발 우선' 중에서 선택되어 왔지만 제3생명과학단지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중차대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고려할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물리적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술의 발달·복잡성으로 인해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산업이 탄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산업분류에 기반 하면서도 혁신·성장, 일자리 창출이 뛰어난 기업군에 중심을 두는 입지정책으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1, 2산단으로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기업을 수용할 수 없다. 연구개발용지와 생산용지가 조화되어 산업 간 융합을 견인하는 스마트한 바이오헬스산업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혁신성장지역의 롤모델이 되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생산기술을 혁신하는 기업의 변화로부터 시작해 입지까지 연결된다. 그러나 기업 입지는 기술혁신으로 인해 도심에서 더욱 고밀화되고 고급 인력을 중심으로 직주근접 현상이 뚜렷해져왔다. 앞서 언급한 연구결과에서 확인되듯이 혁신성장기업의 63%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 간 격차 확대를 우려하는 상황이다. 오송에서 글로벌 혁신성장기업들을 키워내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는 토대로 삼아야 한다.

오송 1, 2생명과학단지는 바이오시장 관점에서 볼 때 얼리어댑터들이 연구개발에 치중하는 초기시장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기업과 시장 위주의 주류시장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둘 사이의 간극인 캐즘(Chasm)을 극복해야 한다. 기술 중심의 초격차 전략(Best 1)과 기업 중심의 장소적 우월전략(Only 1)으로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및 국가균형발전을 함께 이룩하는 방안이 최선이다. 이것이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야 하는 이유다.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취창업본부장
노근호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