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구복건복지협회 주관으로 19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엣 열린 '충북 저출산 대응 100인 토크'에서 참석자들이 손 피켓을 들고 인구감소와 고령화 심화 등 향후 인구변화 등에 대한 대책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 김용수

지난해 1년간 인구가 증가한 광역단체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북, 세종, 제주 등 3곳 뿐이다.

행정자치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국 17개 광역단체 주민등록 인구는 서울 973만명(18.8%), 부산 341만명(6.6%), 대구 244만명(4.7%), 인천 295만명(5.7%), 광주 145만명(2.8%), 대전 147만명(2.8%), 울산 114만명(2.2%), 세종 33만명(0.7%), 경기도 1천322만명(25.5%), 강원도 154만명(3.0%), 충북 159만명(3.1%), 충남 212만명(4.1%), 전북 182만명(3.5%), 전남 186만명(3.6%), 경북 266만명(5.1%), 경남 336만명(6.5%), 제주 67만명(1.3%)이다.

이들 가운데 수도권을 빼고 2018년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단체는 세종 2만4천521명, 제주 3천704명, 충북 399명 등 3곳이고 나머지 11곳은 감소했다.

반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인구는 지난해말 기준 2천592만명으로 전체 인구(5천184만)의 50%를 넘어섰다.

수도권 인구는 1950년대 20%에서 70년대 30%, 80년대 40%를 기록했으며 이후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지만 결국 심리적 마지노선인 50%를 돌파했다.

비수도권은 반대로 지속적인 인구 유출과 기업체 감소 등으로 소멸 위기에 빠졌다. 인구가 줄어든 광역단체 중 부산(2만4천732명), 대구(2만188명), 대전(1만2천981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7곳은 1만명 이상 줄어 수도권 인구 집중화라는 직격탄을 맞았다.

충북은 다행히 행정수도인 세종과 자연 환경이 뛰어난 제주와 달리 특별한 호재가 없는 데도 소폭이지만 인구가 증가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속내를 보면 충북의 미래도 불투명하다. 도내 11개 기초단체 중 진천(2천744명), 청주(1천866명), 충주(322명), 증평(102명) 등 4곳의 인구가 늘어 전체 감소세를 겨우 면했다.

특히 충북혁신도시가 들어선 진천군 덕산면은 충북인구 감소를 막은 든든한 버팀목이 됐다. 덕산면은 2015년 주민이 5천700여 명에 불과했으나 이후 10개 공공기관 이전과 인근 산단 분양, 대규모 공동주택단지 개발, 일자리 수요 증가 등으로 외지인이 대거 유입되면서 3년 만인 2018년 11월말 인구 2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7월 1일에는 덕산읍으로 승격해 인구 증가 시책 전국 우수 모델로 떠올랐다.

하지만 괴산, 영동, 음성 등 7개 지자체는 해마다 인구가 감소해 저출산, 고령화 중심의 인구 정책을 일자리 창출과 정주 여건 개선, 삶의 질 향상 위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농촌에서 도시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인구가 이동하는 대세를 막기는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역간 인구편중 문제를 내부에서부터 다뤄야 한다. 농촌을 지키고, 도시를 키우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이 필요하다. 농촌은 기존 정책을 유지하거나 보완하는 한편 경쟁력이 있는 도시위주 인구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 그래야 인구 절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