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용대란 속에서 지난 9월 열린 '2018 충북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 모습. / 중부매일DB<br>

지역의 미래를 의미하는 청년 고용 분야에서 충북이 먹구름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까닭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조사한 지역의 상용직 근로자 근로 여건을 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임금은 낮고, 근무시간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평균을 내보니 충북은 월 평균 189시간 근무하고 269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이같은 수치가 전국 평균에 비해 7시간 많고 24만4천원 적다는 것이다. 다른 지역의 근로 여건에 비해 열악한 것인데 이는 청년고용시장을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요인이 된다.

더구나 충북의 경우 업종별 고용비중과 기업 규모 등 고용시장의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쉽사리 개선되기 어렵다는 진단이 뒤따른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전문직·사무직의 비중이 전국 평균에 못미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감소하고 있는 제조업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청년층을 비롯해 취업유발효과가 큰 서비스업 종사자 비중은 나아졌지만 여전히 전국대비 낮은 수준이다. 기업규모 면에서는 종사자 20인 미만 소기업 비중이 다른 지역보다 크고 자영업자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다. 한마디로 고용시장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같은 근로여건은 곧바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용시장에 반영된다. 청년들이 보다 나은 일자리를 찾아 충북을 떠나는 것이다. 가정을 꾸려 정착단계에 들어선 중년층만해도 임금과 근로시간 등의 격차를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 있지만 청년들은 그렇지 않다. 지난해 11월 청년실태조사에서 58%가 넘는 청년들이 조만간 충북을 떠나 타 지역으로의 이주를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가장 큰 이유로 취업과 이직 등 고용시장을 들었다. 게다가 충북은 문화·사회 인프라 등에서도 취약하다.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다른 지역 대도시에도 크게 못미친다.

지역간 인구이동 통계를 살펴봐도 충북의 청년 고용시장 상황을 알 수 있다. 충북은 40대 이상에서 시·도간 순유입을 기록했지만 20대의 이탈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7년간(2012~2018) 1만2천600명을 넘어, 매년 1천800명 가량이 일자리 등 때문에 충북을 떠나고 있다. 같은 기간 늘어난 충북 인구가 3만3천명인 것을 보면 청년이탈의 심각성이 확연해진다. 청년들의 이탈은 지역경제 성장동력 약화로 이어지고 지역의 미래를 좀먹게 된다. 기업에는 구인난과 함께 입주·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그렇지 않아도 인구절벽에 직면한 지자체로서는 생존 역량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청년들이 떠나는 것은 계속 머물러 있을 이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까지는 아니어도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높이고, 지금보다 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복지를 확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만큼 보다 직접적이고, 더 빠른 조치가 가능한 근로여건 개선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청년들에게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은 일자리 정보와 지원정책도 이같은 기준에 맞춰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당장 새롭게 늘리기 어렵다면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