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기경보가 '경계'로 격상되면서 국내 확산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해서 개인위생 준수를 당부한 가운데 중부권 거점병원인 충북대학교 병원이 면회를 제한하고 본관 입구에서 모든 방문객들에게 손 소독과 마스크 착용을 실시하고 있다.  /김용수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우려했던 경제적 파장이 지역을 덮치고 있다. 지역경제의 신음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별 대책없이 하루빨리 상황이 종식되기만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특히 '사람 구경하기 어렵다'는 푸념이 나올 정도로 소비경제가 급격하게 얼어붙으면서 연관산업들의 후유증 또한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발등의 불인 지자체에서 앓는 소리와 함께 정부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방역에 우선순위가 밀리는 양상이다. 그러나 현 상황의 마무리를 기약할 수 없는 만큼 경제활력 대책 또한 서둘러야만 한다.

전염병 창궐에 따른 경기침체를 우리는 이미 몇차례 경험했다. 2003년 사스때도 그랬고, 2015년 메르스때도 그랬다. 메르스때 충청권에서는 광공업생산 감소는 물론 판매액지수가 시·도마다 10% 안팎으로 떨어지는 등 약 석달간 내수경제에 악영향을 미쳤다. 더구나 이번 신종 코로나는 메르스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하고, 충청권 수출입 대상 1위인 중국의 경제활동을 마비시키고 있어 파장이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국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지역경기는 더더욱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신종 전염병이 덮쳐 설상가상인 지경이다.

가뜩이나 줄어든 모임과 행사는 모두 중단됐고, 졸업식 취소·축소, 대학 개학 연기 등 실소비를 위축시키는 직격탄이 잇따르고 있다. 그나마 개인위생을 챙기면서 활동하는 젊은이들이 있는 도시권에 비해 군(郡) 단위는 소비시장이 멈춰버린 상태다. 감염 우려로 인해 연로하신 주민들이 외부활동을 꺼리는데다가 어느정도 자급이 가능한 생활여건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우한교민 등 200여명이 격리수용된 혁신도시의 경우 밤이면 유령도시가 연상될 정도로 활력을 잃어버렸다. 낮에도 경찰과 공무원 외에는 찾아보기 어렵다는게 주민들의 하소연이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지자체에서 지원에 나섰지만 재정 조기집행 정도에 머물고 있다. 많게는 70%(충북) 등 2/3가 넘는 예산을 상반기에 풀겠다는 것인데 소비시장으로 이어지려면 시일이 필요하다. 예비비 투입은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기대하기에는 무리다. 게다가 제조업 비중이 큰 충북의 경우 중소기업 지원대책이 꼭 필요한데 진천·음성 소상공인 육성자금 추가지원 정도만 눈에 띌 뿐이다. 당장 피해를 보는 소상공인도 문제지만 사태 장기화에 따른 중소기업 지원방안도 있어야 한다. 일이 터지기 전에 막아야 하는 것은 전염병만이 아닌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시종 충북지사와 양승조 충남지사가 우한교민 수용지역을 위한 특별교부세 지원을 정부에 건의했다. 70억여원에 달하는 적지 않은 규모지만 대부분 방역활동에 필요한 돈들이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영세자영업자 자금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지시했다고 하지만 이 또한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지금까지 경기활성화를 위한 여러 목소리가 나왔지만 지금껏 이뤄진 게 없다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차라리 농산물 등 지역상품을 더 팔아주고, 외지인들의 발길을 이끄는 방안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멀리서 찾지 말고 가까이 있는 것부터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