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고 초미세먼지가 '나쁨'수준을 보인 2일 청주 성안길에는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늘어나 거리풍경을 바꾸고 있다. / 김용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들어선 가운데 이와 관련된 가짜뉴스들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경찰에서도 전담팀을 꾸려 상시 모니터링에 나서는 등 단속 의지를 보이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가짜뉴스 내용이 바뀌고 전파 경로도 달라지는 등 추적의 손길보다 한발 앞서 가는 양상이다. 이는 뒤를 쫓는 식으로는 가짜뉴스를 근절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짜뉴스 발생의 빌미를 없애는 등 불안감의 근원을 뿌리 뽑는 한편 일벌백계로 유포 경로에 대한 강력한 차단이 필요하다.

최근의 가짜뉴스를 보면 감염자인척 하거나 특정지역과 대상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는 등 예전에 비해 보다 직접적이다. 무작정 공포의 강도를 높이기 보다 주변에 대해 불안감을 조장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의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는 것에 맞춰 내용이 달라진 것으로 그만큼 속임에 능하고 추적이 어려워지는 셈이다. 이처럼 그물을 피해다니는 대상이라면 움직임을 차단하기 보다는 숨을 곳을 없애야 한다. 감염을 걸러낼 선별진료소에 대한 의구심과 중국외 유행국 입국자 대책 등 가짜뉴스가 눌러앉아 있을만한 곳은 여전하다.

국내 상황이 소강상태를 보이지만 신종코로나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는 없다. 무엇보다 중국내 확산 속도가 여전히 우려스러운 수준이기 때문이다. 하루에 수천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100여명이 사망할 정도로 그 기세가 여전하다. 게다가 중국 우한 상황이 걷잡을 수 없게 된 것처럼 미온적인 대처가 큰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짜뉴스는 이를 바탕으로 범위와 대상을 넓히고, 근거없는 예방법 등을 더한 뒤 개인간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경험한 듯 전파되고 있는 것이다. 누구나 솔깃해 하는 불안감이라는 마음의 빈틈을 파고드는 것이다.

가짜뉴스라는 것이 그때 그때 상황과 관심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 만큼 후속대응으로는 차단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결국 이를 막으려면 생산자 뿐만 아니라 유포자에 대한 엄벌이 필요하다. 유포에 맞춰 차단할 수 있다면 더 바랄나위가 없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막는 길을 찾아야 한다. 깨진 유리창을 방치하면 범죄확산으로 이어지 듯 엄정한 법의 심판이 뒤따름을 각인시켜줘야 유사한 잘못이 반복되지 않는다. 그래야 법을 통한 공공의 질서가 바로 잡히고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방역과는 또 다른 국가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기도 하다.

모르고 하는 잘못과 알면서 하는 잘못은 그 질이 다른 만큼 처벌도 달라야 한다. 지금의 가짜뉴스는 일상에서 유포되는 것들과 차별이 필요하다. 국가적 재난상황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처벌이 있어야 한다. 신종 코로나 관련 가짜뉴스가 수그러들지 않자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불안과 공포 바이러스가 더 무섭다'라는 말이 나돈다. 알수 없는 감염병에 미흡한 대응체계, 불투명한 정책 결정 등이 불안을 키울 수는 있겠지만 어떤 것도 가짜뉴스에는 미치지 못한다. 불안과 공포를 낳는 가짜뉴스를 막지 못하면 감염병보다 더 큰 화를 맞을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