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기경보가 '경계'로 격상되면서 국내 확산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해서 개인위생 준수를 당부한 가운데 중부권 거점병원인 충북대학교 병원이 면회를 제한하고 본관 입구에서 모든 방문객들에게 손 소독과 마스크 착용을 실시하고 있다.  /김용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수출입 등 국가경제 전반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국의 대 중국 교역이 대부분 원자재 및 부품 등을 수입해 완제품을 수출하는 형태로 이뤄지다보니 작동을 멈춘 중국경제가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그나마 신종코로나의 무차별 공습이 뜸해지면서 경제주체들이 사태초기 공황상태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모양새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예상됐던 국가간 교역 문제 보다 지금 더 걱정해야 할 부분은 감염에 대한 공포와 우려로 우리의 일상적인 소비생활마저 얼어붙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국내 최대 서울 남대문시장을 찾은 문재인대통령에게 상인들이 한목소리로 신종코로나로 경기가 더 위축돼 살기 어렵다며 대책을 호소했다. 우리 주변에서 활동하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처지도 이와 다르지 않다. 위기에 대한 체감은 기업들도 마찬가지지만 강도가 다르다. 이렇다할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보여도 중국과의 교역에 의존하는 기업체, 특히 중소기업들은 이들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 대책마련에 기대를 걸기라도 한다. 늘어나고는 있지만 11일 현재 충북 35곳, 충남 14곳 등 피해신고 기업수가 그만한 것도 숨을 돌리게 한다.

그러나 소비경제의 한복판에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지원대책 보다 주민들의 일상을 더 필요로 한다. 당장 경기 회복까지는 아니더라도 소비심리가 사그러들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감염 공포가 맹위를 떨칠 때 발길이 줄어드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면 일상으로 복귀가 이뤄져야 한다. 더구나 경계심과 관계없이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낮아졌는데도 소비경제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경제와 자금의 순환이 이뤄지지 않는다. 일상의 소비활동은 경제의 근본이며 특히 지역경제는 이를 바탕으로 한다. 아무리 어려워도 정상적인 소비생활이 이어져야 할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처럼 소비경제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자 시·군 등 지자체들이 팔을 걷고 나섰다. 지난해부터 주목을 받으며 지역경제 활력에 한 축이 되고 있는 지역화폐(상품권)를 통한 소비 촉진이 대표적이다. 판매 할인율을 높이고 대상을 확대하는 등 소비심리를 부추기는데 주력하고 있다. 여기에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대출이자 지원과 대출규모 확대 등을 시행하고 있다. 기관들의 구내식당 휴무 확대 등 자주 쓰면서 효과가 입증된 '약방의 감초'도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이것저것 가릴 때가 아닌 만큼 도움이 되는 것들을 더 찾아 하루빨리 펼쳐야 한다.

하지만 이같은 지자체 노력이나 정책 지원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지역민들이 호응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으면 다 허사인 것이다. 따라서 신종코로나로 인해 얼어붙은 지역경제, 소비경기의 회복 여부는 지역민의 손에 달렸다. 우리사회 워라밸의 상징이었던 '저녁이 있는 삶'이 집안에만 머물러서는 모두의 저녁이 될 수 없듯이 지역과 함께, 이웃과 함께하는 생활이 필요하다. 자금유통, 총생산량, 전국비중 등 지역경제의 크기가 다른 곳에 비해 작다고 푸념하기에 앞서 작은 것이나마 먼저 실천해야 내가 사는 우리 지역의 미래가 밝아진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