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피해가 산업 전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지역경제의 큰 축인 건설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가 밝힌 도내 건설업체들의 2019년 공사 실적을 보면 업계의 어려움이 그대로 드러난다. 무엇보다 신규공사 수주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충북외 지역에서 이뤄진 실적으로 총 신규 수주액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이 마저도 타 지역에서의 조경공사 공동도급에 의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공사물량이나 향후 계약 물량이 없어 쉴 수 밖에 없는 회원사가 크게 늘어났다.

먼저 공사실적을 신고한 420여 건설업체 가운데 지금 공사를 하고 있음을 뜻하는 기성액이 없는 업체가 21곳이나 됐다. 전체의 5%에 해당하는 건설사들이 지금 일거리가 전혀 없다는 얘기다. 더구나 이같은 수치는 1년전(11곳)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앞으로의 일거리를 말하는 계약액이 없는 업체는 18곳으로 지난해보다 7곳이 증가했다. 이들 업체는 조만간 새로운 공사수주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경영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처럼 기성액과 계약액이 없는 업체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그만큼 건설시장 상황이 어렵다는 것이다.

업계의 불황은 상위업체의 수주 감소에서도 뚜렷하게 보인다. 상위 10% 업체가 전체 물량의 절반가량(48%)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이들의 부진은 업계 전체의 어려움을 말해준다. 기성액 1위에서 3위 업체까지 전년도 같은 순위에 비해 500여억원에서 200여억원이 감소했다. 1년새 1천억원 가까이 준 업체도 있다. 지역내 대형업체들의 부진으로 100억원 이상 실적을 올린 업체도 전년보다 2곳이 줄었다. 규모와 관계없이 도내 건설업체들이 고전한 가장 큰 이유는 중소업체들이 참여할 만한 소규모 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건설업은 그 특성상 단계별로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공사물량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 작업물량이 끊기게 되면 직원 고용은 물론 장비 사용 등에서 공백과 차질이 생긴다. 이는 경영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고 자재 납품과 하도급 등으로 여파가 미친다. 게다가 건설업은 유통과 더불어 지역경제를 이끄는 양대축이다. 지역 건설업체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1980년대 아파트 건설 붐이 일었을 때, IMF때 등에 이미 입증됐다. 이같은 큰 흐름까지는 아니어도 지역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정부에서도 지역건설업계를 위한 대책을 내놓기는 했다. 지난해말 발표한 지역의무공동도급제는 입찰 참가 자격 제한과 참여비율 확대를 내용으로 한다. 다만 예타 면제 사업 등을 대상으로 해 지역내 대형업체로 혜택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소규모 물량인 생활SOC복합화 사업은 대상이 너무 적다. 충북의 경우 단 8건이다. 건설업 전반으로 봤을 때 심리적 효과는 적지 않겠지만 실질 효과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지역 건설업계의 숨통을 틀려면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 이젠 총선이후를 보고 복지 보다는 경기부양을 고민해야 한다. 모든 일은 때를 놓치면 곱절로 힘들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