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기경보가 '경계'로 격상되면서 국내 확산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방역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해서 개인위생 준수를 당부한 가운데 중부권 거점병원인 충북대학교 병원이 면회를 제한하고 본관 입구에서 모든 방문객들에게 손 소독과 마스크 착용을 실시하고 있다.  /김용수

중국발 '코로나19'의 여파가 우리 사회 전체를 뒤흔드는 가운데 교육계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집단생활이라는 취약점을 안고 있는 만큼 감염병에 대해 각별한 대처가 요구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런 연유로 이미 유치원을 비롯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등 모든 학교가 개학을 미뤘고 어린이집도 휴원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이 하나 둘 확인되고 있다. 물론 처음부터 예상했던 일이지만 대학교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 그것도 '코로나 19'의 발원지 중국 유학생이 그것이다.

신학기 개학에 맞춰 중국인 유학생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는데 우리측의 대응은 자발적인 격리수용 뿐이다. 입국후 상태 확인도 대학이 알아서 해야 한다. 기숙사 격리를 거부한 경우 직접적인 통제를 벗어나게 되며, 자율격리자가 지침을 안지켜도 이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 입국절차를 거친 만큼 무증상자로 봐야 하고 중국에서 온 여타 입국자들과 다를 것이 없다는 이들의 주장도 일리가 있다. 되레 휴학을 선택하는 등 중국이 더 안전하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황당하게도 감염병이 시작된 중국에서 '코로나19' 전파가 우려된다며 한국인 입국자를 격리하는 상황이니 누구를 탓할 것인가.

하지만 여전히 중국상황은 불안정, 불투명하다. 당장 증상이 없거나 추가 확진자 미발생 지역에서 왔다고 해도 전파 가능성을 따져봐야 한다. 국내에서 확진자는 물론 접촉자들에 대해 강력하게 통제하는 것도 그 가능성 때문이다. 일각에서 지적하는 중국 혐오 등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얘기다. 이들의 규모가 결코 적지 않다는 사실도 문제를 심각하게 봐야 할 이유다. 충청권만 해도 충북 약 2천200명 등 9천500명이 넘는다. 또한 이들 중 상당수는 이미 국내에 들어와 있어 중국인 유학생을 제대로 관리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코로나19' 지역전파 등 국내 상황이 악화되면서 중국외 다른 국가 유학생들이 입국을 꺼리는 것도 한번 따져봐야 한다. 한번 금이 간 신뢰는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학들이 유학생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 자녀를 둔 가정들은 학원이 골칫거리다. 확진자 동선에 해당되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휴원을 실시하지도, 고려하지도 않고 있다. 집단활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게 방역의 첫걸음인데 수익과 직결된 민간분야의 일이라 강제할 방법이 없다. 여기에 개학연기에 따른 학생 교육지도 역시 방치되고 있을 뿐이다.

일선 학교들의 개학 준비도 꼼꼼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방역물품을 갖추라는 지침은 내려졌지만 현실적으로 확보가 쉽지 않다. 학교에 맡기고 말 일은 아닌 것이다. 학원운영은 탄력적 대응이 아쉽다. 고민과 노력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발등의 불인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강화, 다중이용시설 차단, 집중방역 등의 기존 대책에서 한발짝 더 나가야 한다. 현실적인 조치인 능동감시와 유학생간 네트워크 활용 등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혜택(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고민해볼만 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