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김미정 정치행정부 차장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사업비 1조원, 생산유발 1조5천억원, 고용유발 4천여명, 취업유발 6천여명. 국가대형연구시설인 방사광가속기 얘기다. 방사광가속기란 전자를 가속시켜 발생하는 빛을 통해 물질의 입자를 관찰하는 '초정밀 거대 빛현미경'이다.

사업비만 1조원에 경제유발효과가 크다 보니 지자체간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충북 청주(오창)를 비롯해 전남 나주, 강원 춘천, 인천 송도, 경북 포항 등 5개 지자체가 유치전을 펼치고 있다. 정부는 곧 공모절차를 시작할 예정이다. 중요한 것은 방사광가속기를 왜 새로 구축하려는지, 왜 지금 시점인지,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염두에 두고 최적지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신규 구축 논의는 일본의 수출규제조치를 계기로 급부상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일본의 수출규제조치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면서 국가전략산업분야의 소재·부품·장비 개발 지원을 위한 산업용 지원 기능으로서의 방사광가속기 역할이 커진 것이다. 국내 유일하게 포항에 건설돼있는 3·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과학분야 연구 중심의 용도였다면 새로 건설될 방사광가속기는 산업 지원 용도로 확장돼야 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입후보지 선정에 있어 가장 고려돼야 할 점은 방사광가속기 활용도가 높은 산업군 즉 반도체, 바이오, 자동차부품소재 등의 산업집적도다. 충북은 정부의 3대 미래전략산업인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관련 업체가 몰려있어 산업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전국 2시간 내 접근성은 국토중심에 위치한 충북만의 강점이다. 청주공항이 5분 거리에 있어 글로벌 접근성도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충북이 최적지로 제시한 청주 오창테크노폴리스산단은 산업단지로 고시돼있어 부지조성 비용을 절감하고 건설기간을 2년 앞당길 수 있는 여건이다. 또 지진 등으로부터 안전한 지질학적 안정성도 갖췄다.

[기자수첩] 김미정 경제부 차장
김미정 경제부 차장

단순 연구시설 유치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R&D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국가적 차원의 사안이다. 국가의 미래먹거리를 책임질 국가대형연구시설을 아무 곳에 세울 것인가? 객관적 평가기준으로 공정하게 입후보지를 선정하길 바란다. 정치적 논리에 휘둘려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답은 나왔다. 최적지는 충북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