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으로] 김명철 봉명고등학교 교장

예관 신규식 선생

민족독립운동이란? 민족은 그 운명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민족자결의 이념을 바탕으로, 특히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는 지역에서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 운동은 19세기 말부터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일제의 침략에 맞서 일어난 의병운동부터 독립운동의 시작으로 본다.

우리 민족 독립운동의 중심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다면 신규식(申圭植·1880년 1월 13일~1922년 9월 25일) 선생을 1등 공신이라 할 만하다. 선생은 비록 43세의 짧은 생애를 살다 가셨지만 중국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한 숨겨진 공로자이기 때문이다.

신규식 선생이 남긴 유명한 저서 '한국혼(韓國魂)'은 이렇게 시작된다. '마음이 죽어버린 것보다 더 큰 슬픔이 없고, 망국의 원인은 이 마음이 죽은 탓이다. …우리의 마음이 곧 대한의 혼이다. 다 함께 대한의 혼을 보배로 여겨 소멸되지 않게 하여 먼저 각자 자기의 마음을 구해 죽지 않도록 할 것이다.'

이 글에 담긴 선생의 철학은 목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소신찬 행동으로 이어진다. 신규식 선생은 1880년 1월 13일 충북 청주시 문의면에서 중추원 의관을 역임한 신용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신채호, 신백우와 함께 '산동삼재'라고 불렸다. 17세 때 신학문에 뜻을 세우고 서울로 올라가 관립한어학교를 거쳐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해 교육을 받았다. 기울어가는 국권을 회복하는 길은 오직 국력배양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청년 장교 신규식은 서울 시내를 돌아다니며 솟을 대문만을 골라 몽둥이로 후려치며 미친 듯 소리 질렀다. "을사오적들은 나오너라"

신규식은 호랑이라도 잡을 듯 거리를 쏘다녔지만 역부족이었다. 사흘 동안 문을 걸어 잠그고 굶었다. 순국이라는 결론을 내린 신규식은 독약을 마셨다. 그러나 그 일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문을 부수고 들어온 가족들에 의해 겨우 목숨을 구했다. 그러나 약기운이 번진 오른쪽 눈은 시신경을 다쳐 애꾸가 됐다. 그 후 선생은 "애꾸, 그렇다. 이 애꾸눈으로 왜놈들을 흘겨보기로 하자. 어찌 나 한사람만의 상처이겠는가. 우리 민족의 비극적 상징이다."

이 때부터 청년 신규식은 '흘겨볼 예, 볼 관' '예관'이라는 아호를 죽을 때까지 사용했다.

1910년 경술국치로 나라가 망하자 선생은 다시 한 번 자결을 생각했으나 마음을 고쳐먹고 1911년 상해로 망명해 순국할 때까지 12년여 동안 위대한 업적을 남기게 된다.

중국의 신해혁명에 참여해 손문정부 교류하며 중국국민당정부와의 항일연계투쟁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리고 3·1독립운동과 상해 임정수립의 주춧돌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22년 임시정부가 분열돼 갈등을 빚자 애통해 하면서 병석에서 25일 간 단식하다 43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하고 말았던 것이다.

1922년 9월 25일 "정부… 정부…"라는 희미한 소리가 숨을 거두는 선생이 세상에 남긴 마지막 말이 됐다. 어쩌면 선생의 마지막 그 말은 선생이 순국한지 100년이 다돼가는 오늘 날에도 유언처럼 들려온다.

21세기 세계 속의 한국을 자랑하는 현재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음은 무엇을 뜻하는가.

김명철 봉명고등학교 교장

우리의 독립이 진정한 의미의 독립이라 할 수 있는가? 아직도 나라가 남과 북으로 갈라진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핵무기를 볼모로 북한의 굶주린 동포들의 아픔을 어떻게 봐야 하는가?

신규식 선생의 마지막 유언이 다시금 들려온다. "정부… 정부…."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