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환경] 남윤희 충북도자연과학교육원 교육연구사

EARTH HOUR 참여 홈페이지./출처 www.earthhour.org.au
EARTH HOUR 참여 홈페이지./출처 www.earthhour.org.au

전 세계 사람들은 몇 단계를 거치면 서로 연결돼 있을까? 케빈 베이컨의 법칙에 따르면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6단계를 거치면 서로 아는 사이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페이스북으로 이제는 4단계 이하로 줄어들었다고 하니 지구 마을이라는 용어가 어색하지 않다. 우리는 그 속에 살고 있는 지구 시민이다. 더구나 요즘 우리는 코로나19로 대한민국이, 그리고 지구가 서로 연결돼 있음을 확실하게 경험하고 있는 중이다.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까지 퍼져 WHO에서는 팬데믹(전염병 최고 단계 6등급, 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선언하는 상황이 됐다. 환경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상호 관련성을 생각해보면 코로나19라는 하나의 대상과 연결된 것은 질병 체계 뿐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 문화, 교육 등 지구 마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이를 뉴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기후 변화로 인해 전염병이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날 것이라고 하니 걱정이 크다. 그러면 전염병과 다르게 서로 연결돼 있는 전 세계 사람들이 동시에 좋은 에너지를 만들 수는 없을까? 3월 지구 시민으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일이 있다. 바로 지구촌 불끄기 운동, 지구를 위한 한 시간(Earth Hour)이다.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은 야간 조명으로 인한 에너지를 줄이고 지구에 휴식을 주기 위해 2007년 호주에서 시작돼 2019년 188개국이 참여한 국제적인 행사이다.

누구나 매년 3월 마지막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하루 한 시간 불을 끄는 행동으로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겨우 한 시간 전등을 끄는 것이 정말 지구에 도움을 주는지 의문이 생기는데, 실제로 우리 집 전등을 밝히는 데 쓰이는 전기는 많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전기를 만들어내고, 각 가정이나 건물로 보내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든다. 전등을 하나 끈다는 것은 그 모든 과정에 들어가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고, 지구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갖자는 의지를 다지는 행동이기도 하다. 우리 집 하나의 전등이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실천하면 많은 에너지가 절약되는데, 2014년 서울시에서는 이 행사에서 참여해 20여억원을 절약했고, 2016년 한국에서만 112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은 효과를 냈다고 한다. 이런 에너지 절감은 석탄발전소를 덜 움직이게 해 미세먼지도 줄이고, 핵발전소도 덜 가동해 위험성도 줄일 수 있으니 일석삼조가 아닌가? 우리는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돼 있는 존재이며,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지구 생태계의 일원이다. 나 혼자의 편리와 행복이 아니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함께 행동해 보자. 2020년 3월 28일 토요일 저녁 8시 30분, 함께 지구 시민으로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을 함께 실천해보면 어떨까?

남윤희 충북도자연과학교육원 교육연구사
남윤희 충북도자연과학교육원 교육연구사

가족들과 전등 대신 촛불을 켜고 1시간 보내며 SNS로 활동을 공유해 4단계로 연결된 지구 시민들이 지구 마을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음을 서로 확인해보자(#earthhour, #지구를위한한시간, #지구촌불끄기).

지구 시민이 되는 일은 어렵지 않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