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17일 교육부가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의 개학을 4월 6일로 연기한 가운데 청주의 한 초등학교 정문이 굳게 닫혀있다. / 김용수

코로나19로 문을 걸어닫은 지 한달이 되어가는 학교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확진자 발생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으면서 4월6일로 예정된 개학과 관련해 여러 말들이 쏟아지고 있다. 학교의 방역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개학을 강행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수업일수와 학습 결손 등의 문제로 계속 미룰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일부에서는 '9월개학' 주장이 나올 정도인데 교육부에서 새로운 대책으로 '온라인 개학'을 등교 개학과 함께 추진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가정 등에서의 원격수업으로 학교수업을 대체하자는 것이다.

이미 세 차례나 개학을 미룬 교육당국으로서는 감염자 발생 우려에도 미적거릴 수만 없다. 그렇다고 개학이 어려운 지역이나, 개학후 감염으로 학교를 폐쇄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도 없다. 이에따라 수업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온라인 개학'이 나온 것인데 문제는 사상 초유의 상황인 만큼 학교현장에서의 혼란이 불보듯하다는 것이다. 벌써부터 학교나 개인의 디지털 격차에 따른 학습편차 가능성이 지적되고, 대입에 목이 매인 고3 학생 등 학업집중도 저하 문제도 간단치 않다. 이대로라면 뒷탈이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온라인 개학에 대한 걱정은 '온라인 수업' 자체 보다는 허술한 대책 결정·준비 과정에서 비롯되고 있다. 코로나의 기세가 여전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개학이 거듭 연기되었지만 일선학교의 방역준비는 누가봐도 구멍투성이다. 마스크 문제는 잇따른 지적에도 답을 찾지 못해 면마스크가 거론되고, 브로커를 통해 중국산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밀접접촉이 가장 우려되는 급식현장의 대책은 면피성 수준이다. 교육당국도 등교준비를 위해 머리를 맞댔지만 확진자 발생 추이를 확인하는 것외에 뾰족한 수는 애초부터 없었다. 거듭된 개학 연기도 그렇지만 상황 악화에 대한 대비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가운데 등장한 온라인 수업은 충분하지는 않지만 차선책으로 선택할 만하다. 병원학교나 방송통신 학교 등 특수교육기관에 한정됐으나 정규수업 대체용으로 이미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최근 개학이 미뤄지면서 일부 특목고에서 자체적으로 도입하고 지난 25일부터 시범학교 10곳을 지정해 운영에 들어갔다.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시정한다는 게 당국의 복안이다. 이렇다 해도 수업시간 등 시간표 편성, 원격수업 참여 확인, 과제물 제출 및 과제수행 등 미리 따져야 할 것이 한둘이 아니다. 준비 시간이 여유롭지 않다는 의미다.

개학 관련 학교현장의 혼란은 코로나19가 드러낸 방역 허점과 맥을 같이 한다. 마스크 등 그동안 갈팡질팡 했던 것들은 옛일로 쳐도, 글로벌 시대 해외 유입차단은 어떻게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지 사태 종식후에도 답을 찾지 못할 듯 싶다. 대규모 감염병 발생 주기가 빨라지는데 마스크 등 의료장비 조달과 공급은 어떻게 해야 하나, 집단감염이 일어난 종교시설·요양원 등의 예방대책은, 이런 숙제들과 더불어 학교문제도 심층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소 잃고도 외양간을 못 고친다면 피해는 갈수록 커지게 되고, 그 부담은 오롯이 우리 몫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