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박성진 사회부장

코로나19 확산세에 전국 대학들이 온라인 강의를 하고 있다. 1학기 개강은 하되 기존 집단수업 체제에서 탈피, 비대면 수업인 온라인 강의를 선택한 것이다. 온라인 강의는 대체적으로 2주 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추가 연장되고 있다. 섣부른 출석수업을 강행할 경우 감염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대학들이 우여곡절 끝에 선택한 온라인 강의는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다.

우선 수업의 질 하락에 따른 학생들의 반발이다. 온라인 수업의 질이 대면 강의보다 떨어지자 '학습권을 침해당했다'며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을 청강하는 학생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1시간도 안 되는 온라인 강의에서 수업의 질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 대학에서는 이런 학생들의 불만에 대해 그저 '코로나'만을 연신 외치고 있다. 코로나로 모든 책임을 돌리는 비겁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리듬이 깨진 것도 문제다. 생소한 온라인 강의를 듣기는 하지만 수업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고 한다. 온라인 강의가 종종 끊어지거나 어설픈 편집으로 수업의 연속성이 담보되지 않는 점은 이제 그럴 수 있다고 치부할 정도다.

온라인 강의로 학생들만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교수들도 여간 부담스럽지 않다고 한다. 온라인 플랫폼을 인식하지 못하는 교수들은 온라인 강의를 녹화하는 것이 곤욕이다. 대학에서 촬영 지원 등을 해주기는 하지만 카메라를 보고 강의를 하는 것이 낯설다고 한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강의가 끊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것도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그러나 교수들의 마음이 편치 않는 것은 온라인 강의 녹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 아니다.

그 동안 교수들이 해오던 대면수업은 일단 강의내용이 남지 않는다. 하지만 온라인 강의는 그렇지 않다. 일단 강의 내용이 그대로 보관된다. 학교가 보관하든, 학생들이 남기든, 다양한 형태로 저장된다. 그 자체가 부담이다. 강의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면서 누군가는 재차 강의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다시 말해 교수 개개인의 강의 실력이 낱낱이 드러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는 어떤 교수에게는 득이, 또 다른 교수에게는 실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학생들을 상대로 교수들의 강의 질을 묻는 설문을 실시한다. 이를 근거로 교수들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는 교수 개개인의 강의 실력을 파악할 수 있겠지만 학교가 직접 나서는 시스템은 아니다. 청강자인 학생들을 통해 우회적 평가를 하는 것 일 뿐이다.

물론 소비자인 학생들이 평가가 정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승과 제자 입장에서 극도로 냉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대학에서는 온라인 강의가 교수 개개인의 강의 역량을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대학이 혹여 개별 교수의 온라인 강의 내용을 평가한 뒤 이를 활용하는 시나리오가 작성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교수들이 불안해하는 대목이다.

박성진 사회부장
박성진 사회부장

위기는 곧 기회다. 온라인 학습은 큰 물줄기다. 이번 참에 교수들은 온라인 강의를 제대로 익혀 미래교육에 대비해야 한다. 대학은 IT 강국에 걸맞는 시스템 구축에 힘써야 한다. 역설적으로도 코로나가 미래 대학교육의 청사진을 그려주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