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원대학교 영동캠퍼스 전경.

충북 영동의 유원대 본교 정원 감축을 둘러싼 대학측과 영동군의 갈등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군에서 주민 2만4천여명이 함께 한 정원감축 반대 서명부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했지만 대학측의 정원 구조조정안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앞서 군과 대학간의 막판 협상도 타협점을 찾지 못해 무위에 그쳤다. 이에 따라 2021학년도 유원대 본교 정원은 140명이 줄어든 반면 아산캠퍼스 정원은 140명 늘어나게 됐다. 이처럼 양측의 갈등이 확산되면서 지역과 대학은 물론 학생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유원대 정원 감축에 대한 지역 여론이 크게 악화되자 대학측은 이전 정원을 최소화하는 대신 재정지원 유지를 요구하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군의 입장은 '현정원 유지'외 협상 불가였다. 어떤 경우든, 어떤 이유든 정원감축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정원감축이 확정되자 '지역사회와의 상생 협력의지가 없다는 분명한 입장'이라며 유원대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였다. 또한 향후 협력·연계사업에 대한 지원 협력의 중단·보류 가능성과 함께 실질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야말로 선전포고를 한 셈인데 앞서 상생협력 이후 대학에 지급했던 재정지원금 환수 여부까지 검토하겠다며 대학측을 압박하고 나섰다. 그렇지만 현재로서는 갈등봉합이 쉽지 않을 듯 싶다. 자칫 더 악화될 수도 있어 보인다. 유원대는 "조정규모를 크게 줄이는 한편 통학버스 지원 재개, 장학금 추가 지급 등을 군에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며 대학만의 책임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주민들과의 대화창구는 계속 열겠다고 했지만 정원조정이 이미 확정된 상황에서 실질적인 반응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지역 미래의 터전인 대학과 지역사회가 이처럼 갈등을 빚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어찌됐든 대학에 있다. 생존을 위한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고 항변할 수 있겠지만 절차와 과정에서 무리했던 것은 분명하다. 상생협약의 조건을 교묘하게 피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상생의 정신과 협약의 의미를 무시했다는 지역의 목소리를 가볍게 들어서는 안된다. 지역내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더 없는 지, 최선을 다했는 지 스스로 자문해봐야 한다. 생존을 위한 고민을 지역과 함께 할 생각은 있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군에서도 대학의 숨통을 옥죄기만 해서는 안된다. 대학을 과도하게 몰아치다보면 학교는 물론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간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 신입자원은 계속 모자랄 수 밖에 없다. 학교가 학생들의 눈밖에 나면 결국 학교의 존폐로 연결된다. 군의 거센 압박이 계속되면 당연히 학교도 힘들어 지겠지만 그보다 먼저 학생들이 신음하게 된다. 어떤 상황에서라도 학생들의 피해는 안된다. 대학도 하루 살겠다고 내일의 땟거리를 버려서는 안된다. 학교도 그렇지만 학생들이 지역의 미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