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허태정 대전시장, 이시종 충북도지사, 도종환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도지사(왼쪽부터)가 10일 오전 국회 본관에서 '2027 하계유니버시아드 공동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충북도 제공

충청권 4개 시·도가 올 봄 무산됐던 2030 아시안게임 공동유치 추진이후 스포츠분야의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2027 하계유니버시아드 유치에 공동 도전장을 낸 것이다. 4개 시·도는 업무협약을 맺고 유치를 위한 공동대응 활동과 상호협력을 약속했다. 광역자치단체 한 곳의 역량만으로는 개최가 어려운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를 충청권의 이름으로 공동추진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기대효과도 상당하다. 더구나 지난번 아시안게임 실패의 아픔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이번엔 반드시 유치해야만 한다.

충청권이 유치에 나선 하계유니버시아드는 전세계 150여개국에서 1만5천여명의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국제종합경기대회다. 정식종목 13개를 비롯해 20여개 종목으로 치러지며 젊은 선수들의 참가로 소비성향이 큰 국제대회로 예산대비 경제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종목수 등이 많지 않지만 대회 개최를 위한 체육시설 등 인프라 구축과 지역경제 파급 면에서 국제체육행사 개최효과는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충청권이 실패한 아시안게임에 전혀 뒤지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얘기다.

아시안게임이나 유니버시아드 등 대규모 국제체육행사 유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이들도 적지 않다. 지난번 아시안게임 유치활동 때도 이같은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다. 하지만 충청권의 현실을 보면 딴지를 걸기보다는 힘을 보태야 한다. 그렇게 한뜻으로 움직여도 성사에 이르기까지 갈 길은 멀다. 반면 유치가 이뤄지면 지역에서 얻게 될 결실은 크다. 이같은 국제대회를 유치한 다른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면 확연해진다. 지원규모는 줄겠지만 적게는 수천억에서 많게는 수조원의 국비가 투입됐다.

이같은 정부 지원은 대부분 체육인프라에 투자된다. 공공체육시설 수를 살펴보면 충청권의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 타당성은 분명해진다. 8천곳이 넘는 수도권이나 7천400여곳에 달하는 영남권 정도는 아니어도 4개 시·도 평균 1천개도 안되는 충청권은 열악, 그 이상이다.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등 대규모 공공체육시설은 수도권, 영남권의 20%도 안되고 호남권의 절반에도 못미친다. 인구규모 등을 봤을 때 충청권 홀대라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다. 특히 충북에는 이 정도의 대규모 시설이 아예 없다.

체육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주민건강의 토대가 된다. 갈수록 이에대한 욕구가 커지는 실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에대한 충청권 홀대는 이제 시정돼야 한다. 지금까지 충청권에서 열린 국제종합경기대회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2002월드컵때 대전 경기가 전부였다. 수도권을 제외해도 영남권과 호남권 모두 유니버시아드가 열렸으며 대구세계육상선수권, 광주세계수영선수권, 강원평창동계올림픽 등 그동안 열린 국제체육행사는 타 지역의 잔치였을 뿐이다. 이제 충청권이 그 대열의 끝에 이름을 올리고자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