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 2005년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지정때 대전정부청사와 세종시로 인해 제외됐던 대전시와 충남도의 혁신도시 지정이 이뤄지게 됐다. 비록 다른 시·도에 비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혁시도시 대열에 합류하게 된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지정은 혁신도시를 통한 균형발전으로 가는 첫걸음일 뿐이다. 당장 이곳에 들어설 공공기관 유치라는 큰 과제를 풀어야 한다. 이는 혁신도시로 성공하기 위한 최대 관건이자 밑거름이다. 더 나아가 다른 혁신도시 발전의 자극제가 되고 균형발전의 한축을 맡아야 한다.

이번 지정은 전국 혁신도시 개발이 첫삽을 뜬 지 10여년이 넘도록 여전히 진행중인 가운데 결정됐다. 이는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로 배제됐던 지역을 아우르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인력과 기능·권한의 지역 분산을 통한 균형발전이라는 방향이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일이다. 이를 계기로 2단계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키우고 힘을 쏟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해당지역으로서는 처음인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기대가 클 것이다. 이를 지역발전이란 결실로 만드는 것은 온전히 그들의 몫이다.

대전은 역세권과 고속도로 진출입를 끼고 있는 연축지구 등 2곳이 지정된다. 역세권에는 철도를 중심으로 한 교통 및 발명·특허 등 지식산업, 중소기업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할 예정이다. 또 연축지구는 과학기술관련 기관들의 입주를 통해 지역과의 연계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광역시로서 갖춰진 정주여건과 인프라를 활용해 침체된 도시재생과 성장을 이끌 계획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여기까지다. 구체적인 이전계획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앞서가기 보다는 연계 방안을 찾는 등 지금은 숨고르기가 우선이다.

충남도청과 교육청·경찰청이 이미 자리한 내포신도시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신도시 건설의 기폭제가 되고 지역과 중앙기관들이 균형을 이루는 새로운 거점을 모색해야 한다. 100곳이 넘는 관련기관·단체 유치가 마무리 단계이며 인구 3만명에 육박하는 등 도시 모양새는 됐지만 부족한 것 투성이다. 의료·문화·체육시설 등이 갖춰져도 활용도가 떨어지면 겉치레일 뿐이다. 환경기술·문화체육·연구개발 분야 기관들이라면 이를 보완하는데 적격이다. 이런 까닭에 확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충분하다.

당위성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혁신도시별 개발 계획은 차순위다. 가장 먼저 해결할 것은 아직도 목소리를 내는 수도권 고수 세력들을 잠재우는 일이다. 국가 대계이자 미래를 담보하는 사업인데도 이들은 여전히 틈새를 찾고 있다. 2차 지방이전과 맞물린 다른 혁신도시들과의 관계도 고려해야만 한다. 예상치 못한 걸림돌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이런 외적인 문제 다음에는 비교적 소규모인 이전기관 활용이란 과제를 풀어야 한다. 혁신도시를 통한 지역발전 시너지 효과의 크기는 유치기관의 활용에 달려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