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뜨락] 최한식 수필가

'인생 칠십 고래희'라 했던가? 내 나이 예순을 넘은 지 얼마 되지 않으니 인생이라 할 것이 없지만 몇 십 년 전만해도 환갑이면 얼추 제 몫을 살았다고 여겼다. 그 비슷하게 살아온 날들을 생각하면 내세울 것이 너무 없다. 대단하지는 못해도 남들 평균치는 살았으면 했는데 아쉽기만 하다.

청년의 때까지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냈다. 깨달은 건 사람마다 타고난 능력치가 다르다는 것이다. 어떤 이는 청소년의 때에 여행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라 하면서 자기는 할 것 다하고도 가장 어렵다는 대학 학과에 입학하고, 어렵다는 시험을 통과해 사회의 지도자로 살고 있음을 드러내며 왜 안 되냐고 한다.

그런 것을 이루지 못했으니 할 말이 없지만, 청소년들을 만나고 학습을 지도하며 느낀 것이 있다. 쉽게 얘기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게다. 스무 살이 넘었지만 한글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청년이 있었고, 다른 여성도 나이 삼십이 다 되었지만 간단한 덧셈 뺄셈을 하지 못했다. 시험 보는 누가 만점을 맞고 싶지 않을까. 공부 잘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지적 능력이 크게 부족한 이들이나 더없이 두드러진 이들은 스스로의 노력이라 말할 수 없는 선천적 요인이 있다. 선인들은 어떤 것을 터득하는 데 서너 부류가 있다고 했다. 태어나면서 안다는 생이지지(生而知之), 배워서 아는 학이지지(學而知之), 곤경을 겪고야 아는 곤이지지(困而知之), 곤경을 겪고도 배우지 못하는 곤이불학(困而不學)이 그것이다. 말하자면 제 노력으로 그렇게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고, 노력이 부족해서 성과가 없는 것도 아니란 것이다. 많은 부분이 그렇게 태어났다는 게다.

내 오십 여년의 삶은 열등감으로 주눅들어 지낸 세월이었다. 안 되는 게 있는 것이 아니라 되는 게 없는 시절이었다. 열등감을 심어준 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게 학교였다. 시종 경쟁이 기다리고 있었고 나는 늘 지기만 했다.

사회에서도 그것은 변하지 않았다. 사회 어디에나 통하는 원리가 선착순이었고 그것은 남보다 앞서는 능력을 요구했다. 그 굴레에서 벗어난 것은 오십을 넘어서기 시작하면서였다. 내가 아니라고 할 수 있고 선택권을 갖게 되자 형편이 달라졌다. 내게는 하지 않는 것이 자유로움이었다.

어느 순간 무능과 미력이 내 안으로 들어왔다. 그것은 둘이 아닌 하나였고 남들이 말하는 지질함이자 오십여 년을 원망하던 벗기 힘든 내 거죽이었다. 주변엔 빛나는 이들이 많았다. 건장한 체격에 명석한 두뇌, 빼어난 외모에 예술적 능력까지, 어느 하나 빠지지 않는 이들이 안됐다는 표정으로 '열심히 해봐, 다 되는 거야'라는 눈짓과 함께 내 어깨를 두드릴 기세였다.

최한식 수필가
최한식 수필가

그들의 진심을 안다. 적어도 내게 만큼은 해도 안 되는 것이 있음도 안다. 내 인생의 한 수는 그래서 더욱 무능과 미력이다. 알만한 소설가는 부족함이 자신의 힘이라 했다. 부족함을 알기에 더 치열하게 생각하고 쓴다는 것이다. 해도 안 되는 것을 알게 되니 그 일을 내려놓는다. 내 것이 아니다. 무능이 깨우쳐 준 진실이다. 내려놓으니 시간이 생기고 그것으로 미력이나마 내게 주어진 곳을 파내려간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