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과학기자클럽·충북테크노파크 공동기획

충북의 미래는 어디에있는가. 충북은 무엇을 하고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미래에 이 지역을 먹여살릴 산업은 무엇인가.오창과학산업단지와 오송생명과학단지,충주그린테크노폴리스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충북과학기자클럽과 충북테크노파크가 공동기획한 ‘충북의 미래 우리가 찾는다’를 3회에 걸쳐 연재한다. / 편집자주

오창과학산업단지는 중부권의 핵심 산업도시 기능과 업무ㆍ정보센터기능, 주거기능이 복합된 미래도시로 21세기 국가 첨단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첨단 생산과 연구시설, 편리한 물류, 쾌적한 주거생활을 보장하는 국내 최고의 입지, 최적의 분양 조건을 자랑하는 전원형 미래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내년에 단지내 아파트 1만2007세대 주민들의 입주가 시작되고 공장이 가동하는 등 제 면모를 갖추고 있다. 전자ㆍ전기 및 정보, 정밀기계, 항공기 및 수송, 재료·소재분야, 신물질·생물공학등의 업체가 창출할 소득은 연간 3조 1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2008년까지 국책기관의 이전이 완료될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는 지난 1994년 11월 ‘보건의료과학기술 혁신방안’을 수립하면서 11년째 진행되어온 차세대 바이오과학의 메카다. 청원군 강외면 일원에 앞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 질병관리본부, 보건연구원, 독성연구원, 보건산업진흥원 등 국책기관과 BT전문대학원, 생명의과학연구소, BT종합지원센터등 연구지원시설, 의약품 관련 기업등 기업연구기관 등 총 68개기관이 자리잡는다. 연구ㆍ생산ㆍ행정 결합,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이끌 바이오 혁신클러스터로 육성되며 연간 생산액 2조 4231억원, 소득 2580억원, 고용 1만5731명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기업도시가 들어설 예정인 충주는 ‘그린 테크노폴리스’라는 개념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기업모델을 도입, ‘지식기반형 기업도시’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 ‘그린 테크노폴리스’(Green Technopolis)는 환경ㆍ생태(Environment·Ecology)의 이미지인 ‘그린’과 지식사회의 핵심인 ‘기술(Technology)+도시(Polis)’를 합친 개념으로 인간과 자연, 기술이 공존하는 미래지향적이며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신도시를 표방한다.

충주 기업도시는 생산시설과 연구개발센터, 교육시설 등이 결합하는 산학 연계의 도시ㆍ주거교육의료문화체육 등 정주시설을 종합적으로 건설하는 복합도시·한국적 기업환경에 적합한 모델도시로 건설된다.

기업도시는 인근 이류면에 사업비 1800억원을 들여 2007년까지 조성될 최첨단 지방산업단지(61만평)과 목행동의 제2산업단지(31만7000평), 내년 말까지 주덕읍에 조성되는 중원산업단지 등과 산업벨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밖에 오는 2008년쯤 착공예정인 호남고속철도 분기역으로 충북 청원군 강외면 오송(청주)이 선정된 것은 ‘충북의 기관차’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게 하고 있다. 오송분기역은 충남 연기.공주지역에 들어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중부권 유일의 국제공항인 청주공항과 각각 6.6㎞, 19㎞ 밖에 떨어져 있지 않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자연스럽게 행정도시와 공항의 관문역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기관 이전 충북을 바꾼다”
한범덕 부지사 인터뷰

2012년까지 12개 공공기관이 충북에 온다.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균형발전뿐만 아니라 지역의 생명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엑스포 사무총장으로 충북 바이오토피아 실현의 씨앗을 뿌린 한범덕 충북도정무부지사는 공공기관 이전이 충북의 미래성장 동력의 중요한 핵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 부지사는 “이전 공공기관이 집적되어 건설되는 혁신도시는 참여정부의 중요 지역정책인 분권, 분산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며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균형발전 전략과 궤를 맞춰 가장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도내 지자체간 과열 경쟁에 대해서는 그는 “외국 사례에서 보듯 합리적, 경제적 고려가 아닌 정치적, 정략적 고려에 따른 정책은 실패할 수 밖에 없다”며 “모든 지역에 대한 정치적 배려 때문에 투입자원의 분산을 가져 온다면 선택과 집중, 규모의 경제 창출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충북이 수도권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장ㆍ단점을 고려해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정주할 여건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교육ㆍ문화ㆍ쇼핑ㆍ레저 등 사회 인프라 시설을 충분히 갖추는 것과 동시에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일체감을 형성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북지역으로 내려오는 12개 공공기관은 정보통신 1 기능군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인력개발기능군에는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중앙공무원교육원, 법무연수원, 한국노동교육원이, 기타 이전 기관으로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보호원, 기술표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