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동군이 생산적 일손봉사 활동으로 농촌 일손부족을 해소하고 있다. / 영동군 제공
생산적 일손봉사 관련 자료사진. /중부매일 DB

코로나19로 인한 산업계의 지각변동이 진행중인 가운데 농업분야도 변혁의 바람에 직면해 있다. 당장 일부 작목의 경우 일손부족으로 영농자체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외국 계절근로자들을 통해 인력을 충원했던 고추 등 몇몇 작목은 팬데믹이 1년을 넘기면서 해외로부터의 공급 길이 막혔다. 더구나 올 상반기는 물론 하반기에도 사정이 나아질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계절에 따라 집중적인 일손이 요구되는 작목들의 경우 치명타가 아닐 수 없다. 상대적으로 농업비중이 큰 충북 등으로서는 큰 고민거리인 셈이다.

갑작스러운 감염병 사태로 지난해 곤혹을 치렀던 농가를 돕기 위해 충북도에서는 인력중계에 나선 바 있다. 지역 특화사업인 생산적 일손봉사와 함께 긴급지원반, 농작업 대행 서비스 등을 시행했지만 인력조달에 어려움이 컸다. 이처럼 지난해 도내 농가에서 요구했으나 채우지 못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숫자만 1천명을 넘었다. 수요조사 결과 올해도 비슷한 수준이어서 인력대체가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국내 인력은 인건비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와의 차이가 커 해당 농가들로서는 '울며 겨자먹기'나 다름없다.

그렇다고 이를 해결할 뾰족한 수는 보이지 않는다. 전국적으로 농가의 63.4%(2019년)가 60대 이상인 상황에서 노동력 부족의 개선은 쉽지 않고 악화될 여지는 더 크다. 단기적인 어려움도 문제지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근본적인 처방을 외면한 채 외국인 근로자들로 대체하는 것은 임시방편일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코로나19 처럼 지구촌을 뒤흔드는 예기치못한 사태가 재발될 수 있어 지금부터라도 서둘러야 한다. 상황이 급박한 만큼 노동력 절감과 인력 충원, 두 방향을 모두 살펴야만 한다.

IOT 등 첨단 농기계를 이용한 일손경감은 4차산업혁명에 따라 이미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영농규모화를 위한 대단위·기계화가 더 속도를 낼 수 있게 지원을 늘려야 한다. 농축산업에 대해 관심을 갖는 청년들이 늘어난 만큼 교육·지원 등의 영농기회 제공은 산업구조 변혁과 맞물려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와 함께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방안도 있다. 기후변화 및 소비생활 변화에 맞춰 일손이 덜 드는 작목 육성, 생산적 일손봉사와 접목해 영농승계로 이어질 수 있는 도시민 유입책 등이 그것이다.

우리 농업의 가능성을 알리고 지원하는 일도 변화의 폭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 코로나를 통해 주목받게 된 자연으로의 회귀는 여건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지난해 쌀 소비는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농식품 해외수출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시장 다변화와 더불어 건강·발효·간편식, 간식류 등 품목의 다양화가 크게 기여했다. 이런 생활변화에 맞춰 우리 농업의 방향도 달라져야 한다. 쌀 소비를 위한 가공식품은 오랫동안 제자리에 머물 뿐이다. 발전 가능성에 비해 시도는 미미하다. 변화는 도전에서 시작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