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전명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최근 마른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21일 영남과 충청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은 만 하루가 지나고서야 간신히 진화됐다. 이번 산불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최소 310㏊의 산림이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는 산불이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자 무려 헬기 70여 대와 장비 140여 대, 인력 3천여 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집중적으로 인력과 장비를 투입했음에도 좀처럼 산불이 잦아들지 않아 한때 산불 대응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대대적인 진화 작업에 돌입하기도 했다고 한다. 결과론이지만 우리 스스로의 작은 무관심이 큰 화마를 일으킨 샘이다.

물론 이번 산불의 원인은 건조한 날씨와 때아닌 강풍으로 대기가 매우 건조한 상태에서 바싹 마른 나무가 불씨를 만나 빠르게 타들어 가면서 급격히 산불이 확산했고 초기 진화에 인력과 장비를 집중 투입했음에도 산불이 제때 진화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코로나19의 3차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장기화됨에 따라 밀폐공간인 실내 활동이 제약되어 상대적으로 산책이나 산을 찾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본격적인 영농철이 시잗됨에 따라 들녘에는 농민들의 손도 분주하고, 봄나물을 채취하려는 등 많은 사람들이 야외 활동에 나서고 있어 이러한 야외활동 인원의 증가로 산불 위험은 더욱 높아져 긴장을 늦출 수가 없다. 특히, 농촌의 경우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집주변의 나무를 제때 제거하지 못해 화재에 매우 취약한 실정으로, 이번 하동산불 사례처럼 화목보일러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불씨가 날려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산림 인접 시설물과 가옥이 전소될 수도 있고, 직접적인 인명?재산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익히 누구나 알고 있지만 산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친 것이 아니다.산불예방은 산불감시원이 취약지역 등에 순찰을 다니며 계도를 하고 있지만, 우리 스스로의 산불조심에 대한 경각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없다면 불가능하다.'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라는 말처럼 한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불로부터 산림을 보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 필자가 추천하는 산불 표어 중 '내가 좋아 가는 산에, 내가 먼저 산불조심'을 다시 한번 새겨볼 때다. 농촌과 산림은 이제 일상 생활과 밀접한 국민적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런 산림에서 휴양ㆍ여가활동 증가는 산불발생 확률도 높일 뿐만 아니라 상당한 재산상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산불의 가장 큰 원인 제공자도 대부분 산을 찾는 입산자 즉, 사람(人)이다. 물론 강수량이나 건조 일수 등 일기 탓이 없지는 않으나, 최근 5년간 발생한 산불 통계의 원인을 살펴보면 입산자 실화가 3분의 2이상으로 가장 많고, 논ㆍ밭두렁 소각, 담뱃불 실화, 쓰레기 소각 순으로 입산자들의 부주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어 스스로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매년 산불이 발생해 수 십 년에 걸쳐 가꾼 우리모두의 자산인 울창한 산림이 한때의 방심과 실수로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하며, 훼손된 산림이 완전 복구되기까지는 40년에서 무려 100년이란 긴 세월에 걸쳐 막대한 노력과 비용이 투자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매년 이맘때면 정부관련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및 농협 등에서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해 산불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산을 찾는 입산자 스스로의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다.

전명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전명환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하지만 산불 발생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방과 산림 등 관계기관의 필사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관심 없이는 산불 관리는 불가능하다. 이번 내륙지방의 산불사례만 봐도 그렇다. 따라서 우리 모두 스스로가 산불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산불조심을 생활화함은 물론 예방수칙 등을 꼭 실천해 미래세대에 물려 줘야할 소중한 자산인 이땅의 아름다운 산을 지켜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