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농산물 가격 고공행진에 이어 국제유가가 꿈틀대면서 충청권을 비롯한 국내 물가가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주머니가 얇아진 서민들에게 물가인상의 타격은 상당할 수 밖에 없다. 그것도 우리들의 밥상과 직결된 생활물가의 강세는 가계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 역시 최근 코로나 확산세와 맞물려 자꾸 미뤄지는 모양새다. 1년 넘게 계속된 경기한파로 가뜩이나 힘든 상황속에서 가정경제의 버팀목이었던 물가가 흔들리면 서민들의 고통은 커질 수 밖에 없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충청권의 소비자물가는 다른 시·도에 비해 많이 올랐다. 충북의 경우 전년대비 1.9%로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가장 큰폭으로 상승했다. 주요 요인은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 농산물이다. 27년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파는 1년새 3배나, 사과는 92%가 올랐고 열무는 전달에 비해 50% 가량 인상됐다. 농축산물만 따지면 지난해 이맘때보다 15% 정도, 식품은 6% 가까이 올랐다. 이렇다 보니 생활물가지수 인상폭은 충북이 2.2%로 인접한 대전 1.6%와 적지않은 차이를 보였다.

이같은 물가인상 원인으로 정부는 지난해 기상악화에 따른 농작물 작황 부진을 꼽고 있다. 물가 전체로는 1년만에 상승세로 전환된 국제유가를 지목했다. 채소·과일 등 신선식품의 강세야 한시적이지만 석유류의 상승 조짐은 우려스럽다. 코로나로 구조 자체가 뒤집힌 개인서비스 물가도 인상요인이 산재해 있다. 길게 보면 물가인상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얘기다. 정부에서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시기를 분산하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렇다고 물가 압박을 피할 수는 없어 서민들은 불안스럽기만 하다.

지금의 물가인상이 우리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듯 싶다. '급격한' 등의 표현이 나올 것 같지는 않아서다. 하지만 지금의 서민경제는, 특히 자영업자들의 처지는 위태롭기 그지없다. 소상공인 대부분이 수입 감소로 하루하루 힘겹게 버티는 중이다. 코로나속에서 살아남느라고 빚더미에 올라 앉은 경우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물가불안은 자영업자 스스로에게도 걸림돌이지만 매출과 직결되기에 더 걱정이다. 경제에서 늘 강조되는 기초체력이 바닥인 셈이다. 이럴 때에는 문틈마다 온통 황소바람이다.

이런 까닭에 정부는 물가안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서민경제가 안정을 찾을 때까지는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게 좋다. 백신이 늦어지는 만큼 일상으로의 복귀 또한 더뎌질 수 밖에 없고 경기회복 또한 맥을 같이 한다.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지 않는가. 따라서 재난지원금 타령보다는 경기회복의 걸림돌을 제거하는 일이 우선이다. 생활물가는 소비경제의 시작이며, 서민 살림살이의 척도다. 아직 갈길이 멀지만 코로나 안정화 시점에 뒤늦은 후회를 하지 않으려면 서민경제를 챙겨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