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박성진 교육부장

대학이 무너지고 있다.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미달 사태 속출로 전대미문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서서히 벼랑 끝에 다다른 대학들이 올해를 시작으로 날개 없는 추락을 하는 심각한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이는 수십년 전부터 예견된 문제였다. 최근 10년 동안 출생아 수가 급감하면서 극단적인 '인구 절벽' 현상이 나타났지만 대학은 오히려 우후죽순 늘어났다. 올해 대학 입학 정원은 49만2천명이지만 수능 응시자 수가 42만6천명에 불과했다. 7만명 가까이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신입생 부족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학들이 호되게 된서리를 맞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잇따르는 상황에서도 대학의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던 외국인 유학생 모집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지난해부터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19 사태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으면서 유학생들도 급감하고 있다. 한때 전국적으로 10만명 넘게 폭발적으로 늘면서 대학의 재정을 든든하게 받쳐주었던 유학생들은 코로나 사태를 기점으로 빠른 속도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다.

코로나는 공교롭게도 대학의 위기와도 맞물려 있다. 코로나 확산 우려로 대부분의 강의가 비대면 수업으로 이뤄지면서 대학 무용론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는 일부 교수들의 질낮은 수업이 한몫했다. 이에 더해 온라인 수업으로 도서관 등 대학 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급기야 수업료 할인이라는 칼까지 빼들어 가뜩이나 어려운 대학이 좌불안석이다.

위기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기관이 문을 닫는다는 의미 이상의 파급력을 갖는다. 대학이 망하면 캠퍼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이 붕괴된다. 교수는 물론 교직원들이 실직자가 되면서 지역의 실업률이 치솟는다. 대학과 연결된 수많은 거래처들도 심각한 타격을 받는다. 대학의 폐교는 지역사회의 경제적 위기와 직결된다. 지역인재 역외 유출도 심각해진다.

광주광역시가 최근 광주시의회, 광주교육청, 광주지역 대학과 손잡고 '광주 대학발전협력단'을 구성해 지역대학 위기에 공동 대응하기로 한 이유다. 부산교육청과 부산시, 부산지역 대학, 부산상공회의소가 지역대학 위기 타개를 위한 상설기구를 구성해 운영하는 것도 발빠른 대처 방안이다. 광주와 부산이 지역대학의 위기가 곧 지역의 위기라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박성진 사회부장
박성진 교육부장

이런 점에서 지역대학 위기의 사정권에 있는 충북도의 무대응에 물음표가 찍힌다. 광주와 부산이 발빠르게 움직였지만 다른 광역시·도 역시 지역대학 위기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충북도가 지역대학 위기가 결국 지역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는 점을 간과하지 않고 있다면, 속도감 있게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충북도가 지역사회와 함께 지역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