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소변 중 카드뮴 등 일부 유해물질 농도수준은 높아
환경부 13일 북이면행정복지센터에서 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 개최

환경부는 13일 북이면행정복지센터에서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환경부는 13일 북이면행정복지센터에서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중부매일 장병갑 기자] 청주 북이면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과 주민 암 발생 간의 역학적 관련성을 명확히 확인할만한 과학적 근거는 제한적이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주민들의 소변 중 카드뮴 등 일부 유해물질의 농도수준이 높아 소각시설·금속가공공장 등의 대기배출시설과 식이영향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13일 북이면행정복지센터에서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소각시설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북이면 일원에는 지난 1999년 우진환경개발이 소각시설(15톤/일)을 최초 가동한 이래 클렌코(옛 진주산업·2001년, 12톤/일)와 다나에너지솔루션(2010년, 91.2톤/일)이 가동을 개시했다.

이후 지속적인 신·증축을 통해 지난 2017년 기준으로 3개 업체 총 소각용량은 1999년에 비해 약 36배(15톤/일→543.84톤/일) 늘었다.

유해물질 배출원을 조사한 결과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 대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이옥신(0.001~0.093ng I-TEQ/Sm3)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중 벤조(a)피렌(0.073㎍/Sm3)이 배출허용기준 대비 0.15~9.3% 수준으로 확인됐고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다.

북이면 대기 중 다이옥신, 벤조(a)피렌의 농도가 낮았으나 대조지역(미원면)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토양에서는 다이옥신, 카드뮴 등이 대조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주민들의 생체 내 유해물질 조사결과에서는 소변 중 카드뮴 농도(2.47㎍/g_cr)는 우리나라 성인 평균의 3.7~5.7배를 보였다.

2-나프톨(PAHs 대사체)의 농도(6.14 ㎍/g_cr)는 대조군(3.39 ㎍/g_cr)보다 1.8배 높은 수준이었고 유전자 손상지표(요중 8-OHdG 농도 9.35㎍/g_cr)도 대조지역(7.65㎍/g_cr)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19년 점검결과와 이번 조사에서 카드뮴이 소각장 배출구에서 검출되지 않은 점, 반감기가 20∼30년으로 상대적으로 긴 토양에서도 카드뮴이 낮은 수준을 보인 점 등을 고려할 때 특정 영향인자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짓기에는 과학적인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암발생률(1999∼2017년)을 분석한 결과 북이면 일원의 소각량 증가에 따른 암발생률의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북이면 지역의 암발생은 암 잠복기(10년)를 고려할 때 소각장의 영향으로 볼 수 없는 2000년부터 전국 및 충북지역의 암발생보다 높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올해 4월 민·관 합동조사협의회 논의를 거쳐 북이면 지역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결과를 종합 분석했으며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과 주민들의 암 발생 간의 역학적 관련성을 명확하게 입증할만한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환경부는 2017년 이후의 암 발생률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고 소변 중 카드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대사체 및 유전자의 손상지표(8-OHdG)가 높은 점 등을 고려해 이 지역에 대한 환경·건강 조사를 위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환경부의 결과 발표에 대해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며 항의하기도 했다.

변종오 청주시의원은 "설명회 결과에 대해지역주민들은 인정할 수 없고 보다 명확한 조사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북이면 주민들이 인근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로 암 발생 등 주민 건강피해를 입었다며 지난 2019년 4월 건강영향조사를 청원해 이뤄졌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