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이·만 나이·연 나이 등 총 3가지 연령 계산 방식 사용
정보전달 혼선·특정 월 출산기피 현상 등 부작용

이장섭 의원

〔중부매일 김홍민 기자〕한국식 나이표시 방식인 '세는 나이'를 '만 나이' 방식으로 전환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돼 눈길을 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잃어버린 1년을 보상받는 '코로나 보상법'이라는 명칭도 따라 붙었다.

이장섭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청주 서원구)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연령 계산 및 표시에 관한 법률안'을 22일 대표발의 했다.

이 의원은 "이번 제정안은 연령을 계산하는 방법과 그 표시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연령의 통일성을 제고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률안은 ▷출생한 날부터 연령계산·'만 나이' 표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문서 '만 나이' 의무화 ▷정부의 대중매체 활용한 국민교육 및 홍보실시 등의 내용을 담았다.

우리 국민들은 3가지 나이 계산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첫 번째로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식 나이 계산법인'세는 나이'다.

'세는 나이'는 출생연도부터 1살이 되고 새해마다 1살씩 증가하는 나이 계산법이다.

두 번째는 태어난 때를 기준으로 매년 생일마다 한 살씩 더 하는'만 나이'방식이다.

'만 나이'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식이며 이웃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권 국가에서도 이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민법 등의 법률관계, 공문서, 언론보도에서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다.

세 번째는 '연 나이' 계산법이다.

병역법, 청소년 보호법 등 일부 법률에서는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개인의 생일 기준이 아닌 일정 연령에 이르는 해의 1월 1일부터 연령이 증가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나이 계산 방식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지적도 있다. 도특히 12월에 태어난 아이는 바로 다음달에 2살이 되기 때문에 특정 월의 출산기피 현상이 나타난다.외국과의 다른 연령 기준으로 인한 정보전달의 혼선, 나이에 기반한 서열문화 조장 등 다양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이 의원은 "공공영역에서는 대체로 '만 나이'를 사용하고 국민들 일상생활에서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고 있어 연령계산 방식의 혼용문제로 인해 사회적으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국제표준 방식인 '만 나이' 계산 방식으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