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박성진 교육부장

사회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 그 해법을 구하기 위한 공론의 장이 바로 토론(討論)이다. 여러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미리 설정된 주제를 갖고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의견 대립으로 치열한 논쟁을 벌이며 최상의 돌파구를 찾는 과정이다. 이런 점에서 지난 16일 지방대 관련 이슈를 갖고 충북에서 처음으로 열린 '위기의 지방대학, 해법은 없나' 토론회는 지역사회에 많은 숙제를 던져준 의미있는 자리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대 관련 이슈를 지역에서 최초로 다뤘다는 점부터 교육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았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중심 교육정책으로 인한 지방대의 경쟁력 도태 등이 지방대를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는 원론적인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고등교육 전문가들이 수년 간 연구한 결과물이 해법으로 제시됐다.

지역사회 모든 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고등교육 거버넌스 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정부의 재정 지원이 중소 규모의 특성화된 지방대에 적극적으로 투입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은 관심을 갖고 연구해볼 만한 정책 제언이다.

무너져가는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자체 스스로 위기 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방어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도 탁견이다. 지방대 붕괴에 따라 도미노 부도 상황을 맞을 수 있는 지역경제를 위해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논리다. 벌써부터 광주와 부산이 지방대학의 위기가 곧 지역의 위기라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은 충북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충북이 수도권과 가까워 그나마 신입생 충원에 유리했다는 점이 깨졌다는 사실도 이번 토론회를 통해 확인됐다. 수년 전에는 그랬을 수 있지만 이제는 서울 등 수도권 대학들도 미충원 사태가 속출하면서 되레 지역 인재의 '인 서울(In Seoul)' 가능성이 용이해졌다는 것이다.

토론회를 단순히 형식적인 행사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유의미한 논리를 그저 허공에 날려보내면 국가적 손실이다. 그 타당한 논리들을 모아 정책적으로 입안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돼야 한다. 이런 점에서 충북지역 지자체들의 자세는 아쉽다.

박성진 사회부장
박성진 교육부장

지방대 붕괴는 단순히 학교가 문을 닫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지자체 정책 입안자들도 충분히 인식하리라 본다. 지금이라도 지자체는 지방대와 머리를 맞대 지방대 위기를 극복하는 정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지자체 뿐 아니라 지역사회 각계각층이 지방대 위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입을 맞춘 듯 엄중하게 던진 말을 그냥 지나치면 안 된다.

토론회가 열린 것에 그치지 말고 이번 기회를 시발점으로 대화의 장을 확장해야 한다. 이번 토론회가 지역이 살아나고 발전하는 데 밀알 또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