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혁신도시 전경
충북혁신도시 전경

전국 10곳의 혁신도시가 지정된지도 15년여가 흘렀지만 여전히 도시 조성사업이 진행중이다. 일부 주민등록인구가 목표치를 넘은 곳도 있지만 상당수는 아직도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인구 수야 목표에 못미쳐도 그만이지만 정작 중요한 당면과제는 정주여건 등 도시 기반시설이 아직도 미흡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적지않은 투자가 이뤄졌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성에 차지 않는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혁신도시의 앞날은 다른 비수도권 지역에 비해 밝은 편이다. 평균연령 등 도시가 계속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북을 비롯한 전국 혁신도시들은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낙후지역에서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변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공기관 직원 등 주민이 꾸준히 유입되고, 공동주택 등 정주여건도 차츰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대중교통, 의료시설 등 도시기반 여건 미비로 유입에 비해 정착 비율은 그리 높지 않다. 결국 정주인구 증대 등 도시 안정화를 위해서는 기반 조성에 더 속도를 내야한다. 그렇다고 계속 광역단체 등의 지원과 투자에만 기댈 수는 없는 일이다. 이제는 자립을 위한 길을 모색해야만 한다.

혁신도시의 자립을 위해서는 당초 계획한 산(産)·학(學)·연(硏)·관(官)이 갖춰져야 한다. 마땅한 산업시설이 없다면 도시의 지속성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공기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런 간극을 채울 수 있는 것이 학교와 연구기관이다. 교육과 의료시설은 삶의 질과 직결된다. 정주를 위한 첫번째 요인으로 꼽히는 것도 이런 이유다. 그러나 인구증가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이런 시설들은 신기루일 뿐이다. 더구나 주변 지자체들이 인구 증대에 목을 매는 판에 혁신도시만의 집중투자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런 까닭에 현 정부가 약속한 2단계 공공기관 이전이 조속히 진행돼야 한다. 주변에서 더하고 빼는 방식으로는 혁신도시 발전에 별 도움이 안된다. 자원이 넘치는 수도권에서 더 빼와야 한다. 초과밀화를 덜고 지방이 사는 최선책이라는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그럼에도 현 정부는 4년동안 말만 되풀이했다. 집권여당은 최근까지도 준비단 출범 등을 떠들었지만 이 또한 공염불이다. 지금의 분위기라면 내년 대선 공약으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게 된다면 이는 정치권의 표 계산에 지역이 놀아나는 꼴이다.

공공기관이 이전했어도 그 파급력이 고스란히 혁신도시 발전으로 이어지지 않음은 이미 확인됐다. 무엇보다 정주여건이 중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혁신도시만의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이주를 마친 공공기관들을 포함해 멀리 길게 보고 도시가 발전할 수 있는, 가야 할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다른 지역과, 다른 혁신도시들과 차별화 해야 한다는 얘기다. 분야별로 갈리는 이전대상들에 맞춰 고민해야 가야할 길이 보인다. 하나를 중심으로 묶기 어렵다면 하나의 줄로 묶으면 된다. 길을 찾아야 길이 보이는 법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