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럭·버스·이동충전소… 수소 대중화 액셀 밟아야

울산시내 주행하는 수소차 모습 /정세환
울산시내 주행하는 수소차 모습 /정세환

[중부매일 남궁형진·정세환 기자] 2019년 정부가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와 함께 대규모 투자를 공헌하면서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 특색에 맞춘 전략을 세워 추진 중이다. 충북 역시 음식물 폐기물과 하수 슬러지, 암모니아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수소'를 핵심전략으로 삼고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본격적인 채비에 나섰다. 하지만 이런 계획과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소 관련 산업의 대중화와 연구개발 등 역시 필요하다.

 

이동식 수소충전소에서 수소 지게차를 충전하는 모습. /울산TP
이동식 수소충전소에서 수소 지게차를 충전하는 모습. /울산TP

◆수소 이동수단 대중화 산업·상업용 분야 확장이 '답' = 수소 관련 산업 중 일반적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분야는 자동차 등 이동 수단이다.

국내 친환경 차량은 전기차가 절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수소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친환경 자동차 등록 현황을 보면 2015년 말 29대에 불과했던 수소차는 2016년 87대, 2017년 179대, 2018년 893대에서 2019년 5천83대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누적 1만대를 돌파(1만906대)했고 올해 7월까지 총 1만5천765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차량 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7천만원 가량인 현대자동차 넥쏘는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 등을 지원 받아 약 40%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지원금은 지원금액과 지속성에 한계가 있어 기술 개발을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와 관련 종사자 등의 공통된 의견이다.

승용차만으로 한계가 있는 대중화를 위해 버스와 기차, 화물차, 지게차 등 상업·산업용 이동 수단에 수소연료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는다.

대형차량을 전기로 움직이기 위해 그만큼 많은 배터리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부피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연료탱크를 사용하는 수소차량은 부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연료 직접 주입으로 충전 등에서 전기차보다 유리하다.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특구 사업을 추진하는 울산은 이곳에 수소 지게차와 무인운반차, 선박은 물론 충전소 등을 실증하고 있다.

최종서 충북테크노파크 차세대에너지센터장은 "(수소차) 보급이 많아져야 가격도 떨어진다"며 "승용차뿐만 아니라 버스, 기차 등까지 수소 연료가 확대되면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관련 종사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소 연료는 개인용보다 상용차 부분에서 전기차보다 메리트가 크다"며 "충북 역시 상용 수소 이동 수단의 연구개발이나 실증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창원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모습 /정세환
창원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모습 /정세환

◆갈 길 먼 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 = 수소차 보급을 위해서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이 필수지만 비용과 공간, 수익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청주시 수소충전소 운영 상황은 이런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난해 6월 지역 1, 2호 충전소인 오창충전소와 도원충전소가 문을 열었지만 2개월여만에 도원충전소에서 고압용기 문제에 따른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뒤 도원충전소는 4개월가량 운영을 중단했고 지난해 말 다시 문을 연 뒤에도 감압 충전을 해야 했다. 오창충전소 역시 도원충전소 사고 직후 감압 충전을 하면서 청주의 수소차 운전자들은 완충 기준 절반 정도로 충전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

시가 이들 충전소의 고압용기 교체를 결정했지만 이마저도 해외에서 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생산, 반입이 늦어져 이달부터 교체를 한다.

추가 충전소 설치를 위한 사업자 모집에도 난항을 겪었다.

시는 지난해부터 상당구 지역 수소충전소 운영자 모집에 나섰지만 신청자 미달로 네 차례나 유찰됐다. 이 과정에서 소유 부지 축소 등 모집 자격을 완화했지만 단수 신청만 이어지면서 결국 이 신청자와 계약했다.

당시 지역에서는 시가 보전을 해주지만 기존 사업자들이 매월 1천만원 이상 적자를 내고 사고 등이 발생한 상황에서 수소충전소를 운영할 사람이 많지 않은 것으로 예상했다.

수소충전소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는 기술 개발을 통한 수소충전소 경량화, 부품 국산화, 생산 방식 다양화를 통한 수소 가격 현실화 등이 꼽힌다.

수소충전소 공간 문제는 이동식 수소충전소와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등이 해결 방향을 제시한다.

이들 시설은 컨테이너나 탱크에 충전 시스템을 내장해 충전소 구축을 위한 공간을 줄이고 이동성 등을 높인 것이 특징으로 창원에서는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통해 도심 곳곳에 충전소를 구축했다.

수소융복합충전소조감도 /충북도
수소융복합충전소조감도 /충북도

◆정부 투자, 규제 개혁 등 병행해야 = 충북의 그린수소 성공을 위해 정부 투자 역시 중요하다. 이산화탄소 등이 발생하는 부생수소가 아닌 물과 바이오가스 등을 활용한 그린수소가 진정한 친환경 에너지라는 점과 전 세계적으로 태동 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 우위 확보 등을 위해 장기 목표를 두고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 의견이다.

이 밖에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의 성공적 운영과 결과물을 통해 국내 수소 산업 관련 규제 개혁과 설비·안전 기준 마련 등을 위한 법령 재·개정 근거로 삼고 안전 체험관 등 수소 안전성 홍보 역시 신경 써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한다.

최 센터장은 "수소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수소가 누출되면 공기 중으로 퍼져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면 폭발할 위험은 크지 않다"며 "수소관련 장비는 다른 고압가스 장비 이상으로 안전 기준이 강하고 관리와 교육도 철저히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 시대 수소 에너지 사용을 피할 수는 없다"며 "수소 안전 교육과 홍보 등에 힘써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는 4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며 "바이오가스와 암모니아 활용 수소 생산 실증을 완료한 뒤 이를 토대로 규제 해소와 기술·안전 기준 등을 담은 법령 재·개정까지 건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