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AI(Dr. AI)'의 운영 방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닥터 AI(Dr. AI)'의 운영 방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부매일 박재원 기자] 국내 연구진이 환자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주치의 '닥터 AI(Dr. AI)'를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여러 병원에 구축된 의료지능을 통합해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한 뒤 미래건강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닥터 AI'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의료지능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각 병원의 환자 진단기록인 전자의무기록(EMR)을 직접 통합해 환자별 의료 데이터를 수집·축적하면 되지만 현재 우리나라 의료법·제도상 한계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ETRI는 이를 고려해 의무기록을 통합하지 않고 각 병원의 의료지능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닥터 AI를 만들었다.

민감한 정보에 직접 접근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기관의 의료 데이터를 빅데이터화(化)한 셈이다.

닥터 AI에 환자의 현재 정보를 입력하면 각 기관 의료지능이 개별 분석한 뒤 오차를 조정해 통합 예측치를 도출하는 것이다. 단일기관 의료지능만 활용하는 경우보다 10%가량 높은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다.

ETRI는 서울아산병원, 울산대병원, 충남대병원과 함께 약 74만 명의 심혈관계 질환자 전자의무기록(EMR)을 이용,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까지 확보했다.

닥터 AI의 핵심기술은 ▷앙상블 의료지능(기관별 예측 추세·오차 분석) ▷시계열 EMR 의료지능(예측 근거·건강상태 분석) ▷멀티모달 의료지능(의료 데이터 학습) 등이다.

앙상블 의료지능은 어느 병원을 방문하든 닥터 AI가 구축된 전국 병원에서 가장 적합한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의 미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지역 검진센터에서 진단하는 호흡계 만성질환을 닥터 AI를 통해 대형병원의 의료지능을 활용하면 더욱 종합적이고 상세한 분석·예측이 가능해진다.

약 2년 뒤 심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라는 예측까지도 해낼 수 있다.

시계열 EMR 의료지능은 환자의 병원 방문 빈도 및 검진 항목을, 멀티모달 의료지능은 EMR 데이터뿐만 아니라 심장 CT 영상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연구진은 내년까지 의료기관을 확대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암이나 당뇨병 등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여기에 최적 치료경로를 탐색하는 AI 개발도 연구한다.

닥터 AI 상용화를 위해 11월 말까지 대아정보시스템과 연구소기업 창업을 추진해 핵심기술 이전 등을 추진한다.

최재훈 책임연구원은 "1·2차 병원 뿐만 아니라 대형병원 역시 환자군이 다른 병원의 의료지능을 동시에 활용해 협진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