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동안 충북을 시끄럽게 한 교육재난지원금 문제가 일단락됐다. 충북도와 충북도교육청이 각각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맡기로 합의하면서 엉뚱하게 소환됐던 무상급식 비용 분담문제까지 매듭지어졌다. 요란했던 양 기관간의 갈등에 비춰보면 이같은 결말은 어이가 없어 맥이 빠질 정도다. 이러려고 말도 없이 상대방 발목을 잡고 막말로 흠집을 냈는가 싶다. 결국 둘다 상처투성이가 됐지만 굳이 따지자면 충북교육청은 실리를, 충북도는 명분을 챙긴 셈이다. 이 대목에서 충북도가 얻어낸 명분, AI영재학교에 눈길이 간다.

논란을 자초했음에도 재정부담이 늘어난 충북도 입장에서 이번 결론은 실익이 없어 보인다. 물론 지방교육교부금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추후 무상급식 비용분담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어도 성에 찰 정도는 아니다. 그런 까닭에 도교육청의 공식적 입장 표명을 끌어낸 AI영재학교가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무상급식 합의서에 '명문고 육성' 내용이 포함됐음에도 지금껏 아무 성과가 없기에 관심이 더 가는 것이다. 명문고 자체가 현 정부의 정책기조와 어긋나기도 했지만 도교육청의 무성의가 더 큰 문제였다.

따라서 이번 AI영재학교 설립도 추진을 위한 실행 의지가 관건이다. 아무리 그럴듯 하게 말로 포장하고 비전을 보여줘도 실현이 안되면 말짱 도루묵이다. 당장 현 정부의 부정적인 입장부터가 걸림돌이다. 때문에 대선정국에서 주요 정당의 공약(公約)에 이를 반영시켜야 한다. 성패의 핵심은 그 다음에 있다. 실제 추진의지를 보여주고, 이를 실천해야만 그 가능성이 열린다. 이를 위해 도청과 도교육청이 반드시 함께 하고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이는 AI영재학교 설립으로 가는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각종 교육 현안에 엇박자를 보였던 충북도와 도교육청을 하나로 묶은 AI영재학교 설립은 시의적절한 도전이다. 국가적으로도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요구되는 내용이다. 전국의 기존 과학고들로서는 관련 교육과정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지금은 미래인재 육성보다는 명문대 진학에 더 집중하고 있다. 그런만큼 대입 지상주의를 벗어난 새로운 학교 설립이 필요하다. 충북과학고의 전환을 검토했던 도교육청이 입장을 바꾼 것에 이런 배경이 있다. 맹목적인 보편성 논리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AI영재학교의 충북 설립 근거 또한 분명하다. 오송생명단지, 오창과학단지, 방사광가속기, 자율주행 모빌리티 그리고 반도체·배터리 관련 기반시설 등 첨단산업이 청주권에 모여 있다. 4차산업혁명을 이끌고 갈 과학영재, AI영재를 육성·배출하기에 이만한 여건을 갖춘 곳을 찾기란 쉽지 않다. 대한민국의 미래와 탈(脫)수도권을 위해서라도 가야 할 길이다. 그러려면 먼저 확실하게 선점할 필요가 있다. 이제 방향은 확실해졌고 말만으로는 설립이 이뤄질 수 없다. 실천의지와 이를 수행할 역량을 보여줄 때가 가까워지고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