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대학의 위기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올해 신입생 선발에 큰 어려움을 겪으면서 위기의식이 더 빠르고 넓게 확산됐다. 가장 큰 변화는 지역에서의 반응이다. 비록 아직 일부지만 언론에 이어 각계각층에서 그 심각성을 주목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최근까지 이어져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런 논의와 고민과는 관계없이 지방대학은 내년 신입생 모집에서 또 어려움이 예상된다. 마무리단계인 수시 선발에서 결원이 넘쳐나고 있기 때문이다.

대입 수시 결원은 충원절차를 거쳐 정시 모집으로 연결된다. 즉, 수시모집이 잘 안되면 정시 선발의 부담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요즘의 대입 정시를 보면 수도권 특히 서울출신들의 강세가 고착화되고 서울소재 대학으로의 집중화가 더 심해지고 있다. 지역출신 수험생은 물론 지방대학들도 함께 어려움이 가중되는 셈이다. 이런 양상이 지금 진행되는 내년도 입시에서도 반복되는 모양새다. 하루이틀새 바뀔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서 이런 상황은 예견된 것이다. 눈 뜨고 코 베인다는 속담과 다를 바가 없다.

이처럼 갈수록 악화되는 지방대학의 처지를 살려보고자 여러 방안들이 논의되고는 있다. 하지만 대부분 위기 상황과 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할 뿐이다. 몇몇의 경우를 빼고는 실제 현장에서 귀담아 들을 만한 것이 없다. 지자체를 비롯한 지역에서의 해법 모색 또한 오래전부터 거론됐던 사안이지만 실제 구체적인 방안으로 발전시키거나 반영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다. 되레 지방대학이 무너지면 지역의 소멸이 더 빨라지고, 균형발전 역시 기대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고민만 더 커졌다.

신입생 모집에서 드러난 지방대학의 현주소는 졸업후 수도권 진출에 목을 매는 모습으로 더욱 확연해진다. 대학 진학도 취업도 오로지 수도권만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 선택에서 취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때보다도 높은 현실에서 지방대학의 선택 폭은 지극히 제한적이다. 수도권에 편중된 재정지원 등의 문제가 해결돼도 지방대학의 살길이 만만치 않다는 얘기다. 결국 지방대학의 살길은 취업에 있고, 이는 지역이 안고 있는 또 다른 문제의 해결책이기도 하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수급 차질 말이다.

지역에 있는 기업들은 첨단산업 분야도 인력충원이 쉽지 않다. 따라서 지역 대학들로부터 안정적인 인력공급 방안을 적극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일은 지방대학의 입지와 위상을 높이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이를 대학입시로 연결시키면 지역 전체의 인구정책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대학 신입생을 뽑을때부터 취업과 지역정착까지 감안된다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대표적으로 몇몇 학과가 자리를 잡으면 대학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기의 해법이 그리 멀리 있는 것만은 아닐 지 모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