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근들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충북 북부 시멘트산업이 다시 주목의 대상이 됐다. 그동안은 지역과 겉돌아 도마위에 오른 반면 이번에는 긍정적인 면모라서 다행이다. 지역의 천연자원을 발판으로 운영되는데도 지역과의 관계가 소원하다면 기업은 물론 지역으로서도 악몽일 뿐이다. 더구나 이 지역의 시멘트 업계는 지역에서 요구하는 지원자원시설세를 놓고 엇박자를 내왔기 때문에 이번 일은 더 의미가 있다. 기업과 지역 모두에 도움이 되는 상생의 길이 될 수 있어서다. 이제 그 첫발을 내디딜 기회가 온 것이다.

충북도가 27일 참여기관과 업무협약을 맺은 'CCU분야 시멘트산업 배출 CO2 활용 저탄소 연료화 기술개발'은 시멘트 산업의 위상을 바꿀 수 있는 사업이다. 시멘트 생산공정에서 나오는 CO2를 포집, 재활용하는 기술을 이용해 대기오염을 줄이고 청정연료인 메탄올을 생산하게 된다. 그런 사업이 전국공모를 통해 단양의 성신양회 공장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대기오염물질만 뿜어대던 시멘트공장이 저탄소 산업구조를 갖추게 된다. 아직 실증단계지만 상용화에 성공하면 신산업으로 성장이 기대된다.

특히 CO2 포집을 통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등도 걸러내 대기환경에 적잖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전국 시멘트 공장 10곳 중 4곳이 모여있는 단양 등 충북북부가 청정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지역에 CO2 포집을 바탕으로 한 신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될 수도 있다. 천덕꾸러기였던 시멘트 공장들이 새롭게 거듭날 수 있는 기회인 것이다. 이제 협약을 맺었을 뿐 오는 2025년에서야 가동이 가능한 만큼 아직 갈길은 멀다. 그렇지만 이 길은 동시에 지역상생으로 가는 길인 셈이다.

시멘트 공장의 CCU 기술개발은 탄소 다배출 사업장들에게 희망이 된다. 일정부분 저탄소 산업구조를 이뤄내 탄소중립 실현에 한발짝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시대적으로 환경오염이 화두가 되고, 갈수록 저감요구 강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탄소저감 산업의 발전 전망은 밝기만 하다. 그런 미래를 열어가는 맨 앞머리에 충북 단양이 자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얻어지는 메탄올의 가치가 큰 것도 매력적이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기도 하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 사업에 대한 기대가 더 높아지고 있다.

시멘트 공장의 CCU기술 활용 사업은 지역내에서의 위상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기대대로라면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다만 그럼에도 지역내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시멘트 업계의 책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이미 진행된 오염상황과 피해구제는 오롯이 그들의 몫이다. 수십년간 고통받은 주민들에 대한 보상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환경피해 복구 또한 이들이 짊어져야 한다. 그런 까닭에 지역자원시설세는 피할 수 없는 과제다. 이번 저탄소화가 지역상생의 첫발이 되려면 그 다음 행보가 이어져야만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