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국의 광역권 가운데 유일하게 지방은행이 없는 충청권의 은행 설립이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지역의 경제 여건 등 설립 당위성은 차고 넘쳐 더 이상 논의가 무의미하고 지역내 여론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미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추진 협약을 맺고 활동에 나선데 이어 광역 지방의회를 비롯해 각계에서 동참의사를 밝히고 있다. 내부적인 추진동력이 커진 만큼 이를 외부에 드러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세 확산에 주력했다면 이제 이를 구체화할 때가 됐다. 설입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얘기다.

지방은행 설립과 관련해 그동안 주로 제기됐던 문제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민들의 금융서비스가 있다. 실제 지역소득 역외유출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지만 뾰족한 수가 없다. 지역내 경제기반이 더 넓어지고 단단해져야 하고, 교육·의료와 문화 및 여가활동 등도 뒷받침돼야 한다. 단시일내에 해소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하지만 지방은행이 설립되면 이의 상당부분을 흡수할 수 있다.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어도 이를 견인할 수 있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지역 바닥경제 소상공인들이 무너지고 있다.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의 소상공인 사업체수는 조금 늘었지만 종사자수는 크게 줄었다. 규모가 작아지고 영세해졌다는 의미다. 사업체당 매출액과 함께 영업이익이 줄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술 더 떠 이들의 어려움은 올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지방은행은 이같은 소상공인들에게 필요한 금융기관이다. 제1금융기관으로 지역 소상공인·서민들을 돕기에 적합하다. 은행문턱이 전에 비해 많이 낮아졌지만 형편이 어려운 이들에게는 여전히 높다. 하물며 지금같은 위기상황에서는 그 턱이 더 부담스럽다.

얼마전 충남도가 실시한 충청권 여론조사 결과는 이런 점에서 지방은행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응답자의 64%가 찬성하고 그 이유로 소상공인·서민계층 지원을 첫손에 꼽았다. 뒤를 이은 지역중소기업 육성·지원이나 지역사회 봉사·공헌 등도 일반은행들과는 거리감이 있다. 그만큼 지방은행으로 특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불필요하다는 첫째 이유로 '현재 시중은행 역할이 충분하다'가 꼽힌 것 또한 지방은행의 전도를 밝힌다. 지역의 바닥경제 위기라는 관점이 추가되면 다른 결과가 예상되어서다.

이 정도 여론과 당위성이라면 추진에 탄력이 붙을 만 하다. 절차가 많고 실제 출자에 이르기까지 난관이 적지않겠지만 이는 부딪혔을 때 풀면 된다. 지금은 힘찬 출발이 급선무이고, 가장 중요하다. 지난 6월 조사보다 찬성 응답이 5.5%p 늘어난 것은 때가 무르익었다는 의미다. 여론의 힘은 시간을 놓치면 폭발력이 떨어진다. 당장 금융위원회 인가를 받기 위한 준비작업이 관건이다. 지금 예정된 추진일정만 1년 넘게 걸린다. 이런 속도로는 열기가 식을 수 밖에 없다. 이제부터 속도를 높여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