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화작업 도중 소방관 3명이 순직한 경기도 평택시 한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10일 오전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진화작업 도중 소방관 3명이 순직한 경기도 평택시 한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10일 오전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들어 잊을만 하면 되풀이되는 참사가 있다. 대형 물류창고 관련 화재사고다. 새해 벽두 경기도 평택에서 소방관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수십명의 인명을 앗아간 2020년 경기도 이천 참사에 이어 불과 6개월여전에도 물류창고 화재로 소방관이 숨졌다. 이처럼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물류창고 화재가 끊이지 않는다. 그동안 지적된 시설물의 문제 외에 이번에는 소방당국의 현장지휘체계가 도마위에 올랐다. 관련 화재가 거듭되는 마당에 대응이 부실한 것이다. 현장대응 등에 빈틈이 있다면 소방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

물류창고 화재가 빈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요가 급증하면서 신설 등 창고 숫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서다. 거듭된 화재로 인해 이미 폭발적으로 늘어난 물류창고의 소방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그럼에도 안전점검, 시설 보완은 물론 진화현장 대응이 미흡한 것이다. 따라서 이같은 상황에 있는 지자체와 지역주민들로서는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충청권만 해도 물류창고 화재가 매년 이어지고 있다. 2019년부터 3년간 충남 350건, 충북 200건 등 모두 600건이 넘는다. 피해자도 사망 2명에 부상이 12명이다.

화마(火魔)가 이어지는 중에도 창고 숫자는 계속 증가해 10년새 충청권은 3배, 충북은 10배나 늘었다. 게다가 창고 크기가 갈수록 커져 화재 가능성과 피해규모도 커지고 있다. 잇단 참사로 지난해 실시된 소방점검 결과는 물류창고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더욱 높인다. 전국적으로 대형 물류창고의 불량 판정률이 60%를 넘었다. 충청권을 비롯해 10곳중 6곳 넘게 소방안전에 문제가 있는 셈이다, 화재위험의 가장 큰 원인은 물류창고의 구조적 취약성이다. 이에 더해 소방설비 설치비용을 줄이기 위한 편법과 꼼수도 한몫한다.

전국의 물류창고들은 대부분 인화성 물질을 다량 보관하고 있다. 여기에 내부적으로 시설물들이 복잡하게 연결돼 방화차단도 어렵다. 여러 층으로 된 시설물은 소화설비 기능에 걸림돌이 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물류창고는 소방안전에 더 많은 힘을 기울여야 한다. 화재 진압에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상황 파악과 지휘 등 현장대응에 풍부한 경험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점을 간과하다가 평택 참사가 발생했다는게 소방공무원 노조의 주장이다. 정확한 진단이 있어야겠지만 문제제기는 타당성이 높아 보인다.

현장지휘체계 개편이 지적의 핵심이다. 현장과 행정을 분리해 현장경험이 있는 책임자를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조직은 경험보다 계급에 의해 지휘가 이뤄진다며 거듭되는 소방관 순직을 막기위한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된 개선책이 지난해부터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요원한데다 단시일내에 이뤄지기 어려운 문제다. 그런 까닭에 지금 당장은 현장대응에 만전을 기하는 것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인다. 제도적, 구조적 문제가 해소될때까지 소방안전에 빈틈이 없도록 살피고 점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