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광역자치단체별 인구 증감세가 뚜렷해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특히 대전은 인구 감소세가 심각하다.2014년(153만명)부터 2021년(145만명)까지 8년째 인구가 감소했다.해마다 6천여 명에서 1만여 명씩 줄었다.인구 감소율도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다.

대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이유는 저출생 심화와 청장년 인구 유출로 진단됐다.대전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달부터 '대전형 양육기본수당'을 지급하고 있다.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형 양육기본수당 지원은 양육 비용의 경제 부담을 경감시켜 대전을 출산 친화적인 도시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이 수당은 소득 수준, 출생 순위 조건에 관계없이 지난 1월 출생아부터 생후 36개월까지 매월 30만원을 지원한다.

충청남도도 인구 감소에 비상이 걸렸다.2018년 212만6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212만3천명, 2020년 212만1천명, 2021년 211만9천명 등 내리 3년째 인구가 줄었다.인구가 준 이유는 대전과 비슷하다.

출생아는 2021년 11월 1만290명으로 2020년 11월 1만1천167명보다 7.9% 줄었다.특히 충남 인구를 지탱한 청년의 수도권 유출 현상이 심각하다.지난 1월 충남연구원이 발표한 충남 청년 취업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지역 대졸자의 수도권 취업 비율은 64.4%로 도내 취업 비율 22.1%보다 3배나 높았다.청년의 타지역 유출 원인은 일자리가 3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주택 27%, 가족 문제 25% 순으로 조사됐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최근 간부회의에서 "인구 문제를 더 이상 '방 안의 코끼리'로 방치해선 안된다"며 "청년 취업과 정주의 선순환 체계 구축 등 가장 효과적인 인구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세종시는 출범 첫해인 2012년 11만3천명에서 2021년 37만4천명으로 9년 동안 3배 이상 늘었다.세종시 인구는 2050년 60만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청북도는 2006년 149만 명에서 2020년 160만 명으로 14년 동안 해마다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하지만 지난해는 159만7천427명으로 전년보다 3천여 명이나 줄어드는 등 감소세로 돌아서 원인 분석을 통한 극약 처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청주(3천489명)와 진천(1천458명)을 제외한 9개 시군 인구가 감소했다.영동 1천702명, 제천 1천427명, 괴산 1천271명, 음성 956명, 충주 828명, 단양 824명, 보은 534명, 옥천 434명, 증평 381명이 줄었다.

인구는 지역의 사회·경제 여건에 따라 일시적으로 늘 수도 줄 수도 있다.전문가들은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대기업 유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지자체 특성에 맞는 맞춤형 중·장기 대책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충고한다.공직자 주소 이전 등 보여주기식 대책을 통해 억지로 늘리면 부작용만 낳을 뿐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