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세를 더해가는 오미크론으로 인해 우리사회가 또 다시 코로나19 위기상황을 맞았다. 의료 대응과 거리두기 등의 변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교육계가 발등의 불이다. 신학년 개학을 10여일 앞두고 학교 방역의 틀을 새로 짜야 해서다. 방역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이를 제대로 운영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그런 만큼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상황에 따른 단계별 방침도 마련하고 인력·물품지원 등도 챙겨야 한다. 이런 것들을 갖췄어도 빈틈은 생긴다. 그래서인지 개학 방역대책을 바라보는 마음이 무겁기만 하다.

충북교육청이 오는 3월부터 적용할 방역관련 학사운영 방안을 밝혔다. 개학후 5주간 주 2회씩 모든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신속항원검사 실시가 핵심이다. 이를 통해 확인된 유증상자는 PCR검사를 하고, 집단발생 학교에는 이동형 검체채취팀을 지원하게 된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확진자를 학교가 자체적으로 조사하고 대응하는 학교자율방역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부 방침이기도 하지만 실제 학교 입장에서는 달리 뾰족한 수가 없기도 하다. 밀접 접촉과 집단감염 가능성 등 취약점이 한둘이 아니다.

이번 방안에는 신규확진·등교중지 비율 등에 따른 등교·원격수업 등 단계별 조치와 시헝 및 기숙사 운영 등 큰 틀에서 필요한 조치들이 포함돼 있다. 수차례 시행착오 끝에 얻어낸 방역시스템인 셈이다. 그동안 코로나 사태와 관련된 당국의 조치를 보면 이같은 대응을 다행으로 여겨야 할 판이다. 이제서라도 틈새를 최소화하고 운영 가능한 체계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됐으니 하는 말이다. 그렇다고 지금의 대응으로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중도에 어긋날 수 있는 부분이 보이고 그 가능성 또한 적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학교를 통해 공급될 자가진단키트 확보다. 무려 180만개에 달하는데 실제 시중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 도처에서 품귀현상이 빚어지고 특별공급을 내세운 사기피해까지 발생했다. 정부 협조를 받겠다는 계획이지만 차질이 없을 지 벌써부터 걱정이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코로나 초기 마스크 처럼 수급이 원활해지겠지만 당장은 기대하기 어렵다. 지금도 허점투성이인 방역당국의 확진자 재택치료도 문제다. 자발·자율이 바탕인데다가 확인에 시간이 필요해 학교로서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교육당국의 확진자 거름망이 제 역할을 하려면 무엇보다 사회적 방역이 제대로 작동돼야 한다. 완화 전망이 우세한 거리두기 조정을 앞두고 전문가 우려가 쏟아지는 점도 고민거리다. 학교현장을 생각하면 방침 결정을 하루라도 서두르는게 좋겠지만 여타 여건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부실한 의료대응체계로는 학부모의 불안을 잠재울 수 없고 의료현장은 신속검사 하나만으로도 혼란스럽다. 그런 까닭에 이번 발표는 너무 서두른 감이 없지 않다. 방역대책을 꼼꼼히 짰어도 여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안심할 수 없는 법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