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침공을 기점으로 미국, 러시아, 중국, 우크라이나 등 주요 곡창지대의 기상악화까지 흉작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해 지난 2007~2008년에 이어 세계적 식량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일부 식품기업들은 이러한 곡물가 인플레이션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을 인상했거나 혹은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먹거리 가격상승은 서민들에게 부담을 주고 빈곤층의 생계유지에 커다란 위협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작 이런상황에 우리 국민들이 잘못 알고 사실이 있다. 지난 2000년대 중반 식량위기가 지구촌을 강타했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식량위기가 올지도 모른다는 우려는 식량위기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2000년 이후로 전 세계는 식량위기 상황으로 접어들었고, 우리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분석일 것이다. 우리나라만이 아닌 세계적 식량위기의 시대로 지난 2000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 식량의 총생산량이 총소비량보다 낮은, 식량 부족 현상이 이미 나타났었다.

그 이전까지는 세계 총생산이 총소비보다 많았지만 일부 빈곤국 및 빈곤층의 식량부족과 기아문제만 부각됐었던 소위 '상대적 식량위기'의 시대였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로 생산이 늘어가는 인구와 식량소비를 따라가지 못하는 식량 카이오스의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

식량 소비량이 증가한 주요 이유로는 육류 소비의 증가, 중국과 인도 등 신흥 개발도상국의 소비 증가, 가축의 사료 소비 증가 등으로 귀결되고 있다. 정작 문제는 식량 생산에 있다. 농업기술의 발전과 농업 생산성 증가에도 식량소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이상기후와 신자유주의 뉴노멀 때문일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식량위기가 짧게는 한 세대, 길게는 한 세기 동안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식량자급률은 매년 떨어져, 2018년 21.8%에서 2020년 20.2%로 되레 후퇴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사실상 꼴찌다.

그 배경은 경지면적 감소, 일부 작물에 편중된 기형적 공급과잉,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구조적인 한계가 뚜렷한 탓일 것이다.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br>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그나마 주식인 쌀은 자급기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CPTPP 가입으로 쌀가격 마저도 이제는 장담할 수 없는 처지다. 이미 우리 곁으로 다가온 식량위기에 대비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은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자급률을 높이는 방법뿐이다. 이를 위해 생산자인 농업인들이 농사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가능하도록 소득과 가격의 안정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인 국민들도 공동체라는 생각을 가지고 농업인만의 문제가 아님을 어서 인식해야 한다.

키워드

#기고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