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2천억 투입 2024년 4천명 규모 캠퍼스 개교 계획
4-2 생활권 '교육·연구·창업' 혁신 생태계 구축 먹구름

세종 공동캠퍼스 조감도. /행복청 제공
세종 공동캠퍼스 조감도. /행복청 제공

[중부매일 나인문 기자] KAIST가 당초 세종 공동캠퍼스에 융합의과학원 등을 건립키로 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과 MOU, MOA를 잇달아 체결하고도 충북 오송으로 급선회하면서 국책사업의 밑그림이 상당부분 틀어질 수 밖에 없게 됐다.

행복청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돼 온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의 자족기능 확충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캠퍼스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에 따라 2019년부터 세종시 4-2 생활권 31만㎡의 대학용지에 다수의 대학과 연구기관이 교사(校舍)와 지원시설 등을 공동 이용하고, 입주기관 간 융합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공동캠퍼스'를 조성 중이다.

특히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분양형캠퍼스와 임대형캠퍼스로 구분, 사업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총사업비 2천억원 가량을 투입해 오는 2024년 임대형 1천~2천명, 분양형 2천명 등 총정원 3천~4천명의 캠퍼스를 개교할 예정이다.

행복청은 공동캠퍼스가 위치한 4-2 생활권 도시첨단산업단지(세종테크밸리)에는 네이버데이터센터와 자율차연구센터 등 300여개 첨단 기업 및 연구소, 창업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기업지원기관이 집적화돼 있어 공동캠퍼스에 우수 대학이 입주할 경우 IT(정보통신)·BT(생명공학)·ET(환경에너지기술)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교육↔연구↔창업·취업'이 선순환 하는 혁신 생태계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해 왔다.

행복청은 또 KAIST가 무상 양여를 바랐던 대학·연구용지를 대학은 물론 연구소, 기업, 창업센터 등과 함께 새로운 도시성장 동력으로 조속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복합개발방안 마련 및 사업화 전략수립을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공동캠퍼스는 다수의 대학·연구기관 등이 함께 입주해 국가정책 및 IT·BT·ET 융·복합 분야의 교육·연구를 통해 정부혁신 구현 및 산·학·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명실상부한 대학의 신개념 모델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문제는 KAIST가 이미 2008년 세종시에 캠퍼스를 설립키로 행복청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2011년 2월 15일 부지 위치와 규모, 대학설립 시기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춰 또 다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18년 5월 18일 융합의과학원 세종 공동캠퍼스 입주를 위한 합의각서(MOA)를 잇달아 체결하고도 한순간에 오송으로 선회하면서 이 같은 각서를 완전히 뭉개버렸다는 점이다.

KAIST는 2011년 MOU에서 세종시 예정지역 내 161만㎡에 대학을 짓고 2015년에 학교 일부를 개교해 생명과학대학, 연구시설, 과학기술전략정책대학원 등을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정치적인 이유 등 이런저런 부침을 겪어오다 2018년 MOA를 통해 세종에 융합의과학원을 건립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신성철 KAIST 총장과 이원재 행복청장은 KAIST에서 '융합의과학원의 행복도시 공동캠퍼스 입주를 위한 MOA'를 체결한 뒤 "양 기관이 그동안 행복도시 입주에 관해 상호 노력하는 내용으로 체결한 MOU를 내용적으로 발전시켜 융합의과학원 설립 계획과 양 기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책임과 구속력'을 갖는 최초의 합의각서(MOA)라는데 의미가 있다"고 극구 그 배경까지 상세히 설명했다.

KAIST는 또 "관계부처 협의 및 이사회 승인 등 '융합의과학원' 설립을 위한 절차에 곧바로 착수하고 2019년까지 공동캠퍼스 입주를 위한 법적 절차를 완료하며, 2021년부터 교수 50여 명, 학생 500여 명 규모의 대학원 과정 운영을 시작하겠다"고 약속했다.

세종공동캠퍼스 배치도. /행복청
세종공동캠퍼스 배치도. /행복청

하지만 KAIST가 2차례의 양해각서와 '책임과 구속력'을 갖는 MOA를 체결하고도 충북 오송으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국가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이 맺은 각서마저도 물거품을 만들면서 세종 공동캠퍼스 조성 등 국책사업의 밑그림과 방향마저 크게 흔들어 놓은 데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 교수는 "1971년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발전이라는 정부의 목표 아래 국내 최초의 연구중심 이공계 특수대학원으로 설립한 KAIST가 당초 설립이념마저 망각한 행태를 보이는 데 대해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며 "하루빨리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도록 결자해지하는 차원에서 오송 캠퍼스 조성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