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9대 대전시의회가 드디어 닻을 올렸다.

지난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전시의회 총 22석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4석, 국민의힘이 18석을 차지했다.

이는 지난 8대 의회와는 반대 구도로 대전시장과 5개 구청장을 석권했던 민주당은 그 여세로 총 22석 중 비례대표 한 자리를 제외한 21석 모두를 휩쓸었다.

하지만 이번 9대 의회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4석만 자리를 내주고 18석의 절대 권력을 쥐게 됐다.

18석의 절대 권력이 갖는 무게만큼 정치에 대한 무게감은 떨어지는게 문제다.

국민의힘 18석 중 1석을 제외하고 모두 시의원 경험이 없는 초선으로 나타나 정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 당적으로 유일하게 제6대 대전시의원을 역임한 박종선 의원이 시의회 경험이 있을 뿐이고, 그나마 박주화 의원과 이한영 의원의 중구와 서구 의원 경험을 빼고 나면 모두 정치 초년생들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민주당 4명의 의원은 비례대표 1명을 제외한 송대윤, 조원휘 의원이 제7대 대전시의회에서 활동했고, 이금선 의원이 제8대 유성구의회 의장을 역임한바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의 정치 이력에 비한다면 민주당의 정치 이력은 소위 거물급에 해당된다.

여야가 협치를 통해 의회를 이끌어가야 하는 이유다.

이렇다보니 다수당을 차지하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대전시의 방대한 예산에 대한 집행과 견제가 제대로 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9대 대전시의회는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첫 지방의회 구성이다. 인사권 독립, 정책지원 전문인력 확충 등 의회 권한이 확대됨과 동시에 책임도 커졌다.

하지만 심심찮게 들려오는 지방의원의 부정, 일탈, 청탁 등은 지방의회 무용론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지방의회 무용론을 해소하고, 시민의 대표기구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고질적인 원구성 파행은 없어야 한다. 지방의회를 개원할 때마다 원구성 파행은 정례적인 행사로 보여질 정도였다. 지난 8대 의회도 원구성 파행에서 예외는 아니었다. 벌써부터 다수당인 국민의힘 의원들 간 전반기 의장을 둘러싸고 파열음이 나고 있다. 전반기 의장에 출마를 선언한 박종선 의원은 역대 지방의회 원 구성의 원칙과 관행, 순리, 질서는 다선의원을 중심으로 원 구성을 해왔고 그것이 관례였다고 강조하며 본인이 의장이 돼야하는 당위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국민의힘 대전시당쪽에서 관례를 무시하고 특정 후보를 의장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혹은 여야 간에 서로 의견을 경청하고 협치를 해야한다.

지난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오만과 독선에 빠진 민주당에 국민들은 여지없이 회초리를 들어 심판했다. 권력은 언제나 민심을 두려워해야 한다. 민주주의 정치에서 국민을 이길 수 있는 권력은 어디에도 없다는 점을 깊이 깨달아야 한다. 다수당의 지위를 차지하더라도 소수당을 지지하신 주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한다면 민심은 반드시 심판한다. 그걸 역사가 증명해 주지 않았던가. 협치가 순리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