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김동현 청주시 서원구 세무과 주무관

필자는 생선회나 내장, 샐러드 등 날것의 음식은 거의 먹지 않는다. 이보다는 불에 익힌 육류와 볶음류에 들어간 채소를 좋아한다. 편식하는 편 이라 종종 회식 메뉴 등을 정할 때 핀잔을 듣기도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음식들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고 행복하다.

수많은 육류중에서 내가 가장 선호하는 것은 닭고기다. 분명 돼지고기, 소고기도 맛있는데, 더 자주 찾게 되는 건 닭고기였다.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양념치킨 등 대중적이고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메뉴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학교 앞에서 파는 닭꼬치, 강정 등을 먹으며 자랐고, 성인이 되어서도 가장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배달치킨을 자주 이용한다. 특별한 날에는 찜닭이나 삼계탕을 먹고 닭이 낳은 달걀도 냉장고에선 늘 빠지지 않는 식재료 중 하나다.

특히 요즘 같은 여름만 되면 몸보신 타령을 하며 꼭 삼계탕을 찾게 된다. 과거에는 복날에 보신탕이나 추어탕도 많이들 찾았지만 모든 이들에게 사랑받는 삼계탕이 복날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복날에 먹는 삼계탕은 같은 닭고기지만 치킨이나 찜닭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기력을 채워준다. 밤, 찹쌀, 대추, 마늘, 인삼 등 몸에 좋은 식재료들과 궁합이 좋아 먹고 나면 며칠이 든든하다.

삼복과 함께 쓰이는 말인 '복날'이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복날의 복(伏)자는 마치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으로, 여름철 더위의 기운이 너무 강해서 일어서지 못하고 복종한다는 의미로 해석한다고 한다. 복날의 유래는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의 기록에 나와 있다. 중국 사기(史記)에 나와 있기를 '진의 덕공 2년에 삼복 제사를 지내면서 성 4대문 안에서 개를 잡아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 진(秦)나라 때부터 삼복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날 기력을 보충하고 몸을 보하는 음식을 '복달임 음식'이라고 한다. 요즘은 삼계탕이나 장어구이, 추어탕, 소고기 등 단백질과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고기류를 복달임 음식으로 먹는다. 그중에서도 삼계탕은 예로부터 서민 중의 서민이 먹는 복달임 음식이었다. 왕의 수라상에 올랐던 복달임 음식으로는 민어찜, 도미찜, 그리고 보신탕 등이 있었고, 귀족 등 상류층에게도 삼계탕은 그다지 상급의 복달임 음식으로 대우받지 못했다. 요즘 삼계탕 가격을 생각해보면 그리 서민의 음식이지만은 않은 것 같지만, 그래도 개중에 가장 대중적인 복달임 음식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김동현 청주시 서원구 세무과 주무관
김동현 청주시 서원구 세무과 주무관

여름날 더위와 함께 복날이라는 핑계를 대고 우리는 기념일을 챙기듯 삼계탕을 먹는다. 개인마다 몇 번을 먹는지는 차이가 있지만 복날엔 여건이 되면 자연스럽게 삼계탕을 먹는 걸 의례 행사처럼 여긴다.

더운 날씨로 육체가 피곤해지고 기력이 허할 때마다 적기에 몸에 좋은 삼계탕을 먹을 수 있다는 건 큰 힘이 된다. 더운 여름 날씨를 이길 수 있도록 복날을 기념하고 삼계탕을 먹는 조상들의 지혜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훌륭한 전통을 우리 다음 세대에도 물려줄 수 있도록 복날 삼계탕 문화는 보존하고 개선되도록 다 같이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키워드

#기고 #삼계탕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