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 보다는 ‘지연’이나 ‘학연’, ‘혈연’에 얽메인 유권자들이 많아 영동의 미래가 그리 밝지는 않은 것 같다.

특히 이들 가운데는 “영동은 희망이 없는 도시”라며 목청을 높였던 사람들도 보여 더욱더 아이러니하다.

단체장의 정책에 따라 영동의 운명이 뒤바뀌는 군수선거도 중요하지만, 주민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군의원 선거는 더욱더 중요하다.

군의원은 단체장을 견제하고, 모든 조례안을 심의·확정은 물론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칙칙한 영동’을 ‘희망의 도시’로 바꿀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당수 주민들은 군의원 선거를 마치 ‘마을 반장’ 선거로 인식,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보다는 ‘지연’과 ‘학연’, ‘혈연'등으로 자신의 소중한 한표를 흘려버리고 있다.

예비후보자들도 이러한 기준으로 편을 가르고, 지역 주민들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동지’와 ‘적’으로 규정, 득표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

덩달아 상당수 지역민들은 이같은 인위적인 편 가르기에 동조, 자기와 같은 분류에 들지 않는 사람들을 다른 이유 없이 공격하기도 한다.

실제, 영동군의원 다 선거구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져 이곳 주민들은 선거가 빨리 끝나기를 기다리는 하소연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번 5·31 지방선거는 역대 지방의원 선거와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지방의원 유급제 실시로 수천만원씩의 급여를 받는다.

지방의원들이 받는 급여는 물론 주민들의 세금이다. 식견 있고 능력있는 인사를 뽑자고 유급제를 도입한 만큼, 돈 아깝지 않게 의정활동을 잘하는 인물 선출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많은 후보자 가운데 맛깔나는 상품을 고르는 즐거움 대신에 “지역 출신 후보자가 난립, 표가 분산되어 군의원 당선이 어렵게 됐다”며 오히려 후보자들을 책망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이들은 선거후 “영동은 희망이 없는 도시”라고 또다시 목청을 높일 것이 아닌가.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