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경제' 확산… 저소득층 자녀 소외 심각

최근의 사회 양극화가 교육 양극화로 확대 심화되고 있다.

부모의 경제·사회능력에 따른 학생들의 교육격차가 깊어지면서 교육 양극화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같은 양극화 현상은 방학기간동안 더욱 심화 돼 학생들간 위화감 조성 등의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교육격차는 사회분열과 사회 양극화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주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따라 방학중은 물론 학기중에도 저소득층 자녀들이 교육을 제대로 받을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추진에 정부는 물론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지역 공공기관들의 협조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방학중 교육 격차 사례 = 청주에서 치과를 운영중인 A씨(43)는 중 1 아들이 겨울방학을 하자 마자 어학연수를 위해 호주로 보냈다.

또 어학연수에서 돌아오면 1주일간 중국으로 가족여행을 다녀 올 계획이다.

맞벌이 부부인 공무원 B씨(40)도 방학이 되면서 초등생 딸 아이의 학원을 평소 영어·피아노 학원에서 수영·미술·전과목 종합학원 수강까지 5개로 늘렸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두 아이의 학원 수강료만 한달에 100만원이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건강이 좋지 않은 아버지·동생과 함께 살며 기초생활보호대상자인 초등학교 6학년 정임(가명)이는 외국연수는 커녕 학원수강은 꿈꿀 수 조차도 없다.

공부보다는 하루 먹고 살기가 더 걱정이다.

초등학교 2학년 동생도 방학이 되면서 충청북도의 지원으로 운영됐던 보육교실이 중단 되면서 갈 곳이 없게 됐다.

모 지역아동센터도 맞벌이 부부 또는 저소득층 아이들의 방학나기 장소로 애용되면서 학생들이 부쩍 늘었다.

▶정부·지자체 적극 나서야 = 이같은 양극화 현상은 어린 아이들에게 '교육=경제'이라는 그릇된 인식이 심어지면서 평생 깊은 상처를 안게 된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들이 부모의 경제력 때문에 학습기회를 제대로 받지 못해 차별을 당하는 것은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 지역 공공기관들이 이들의 교육기회 확대에 적극 나서야 한다.

먼저 공교육 만으로 모든 교육주체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공교육이 살아야 한다.

특히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자체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뒤따라야 한다.

여기에 지역내 주민자치센터나 도서관, 여성회관, 문화체육센터 등 각종 시설물들이 학교와 학생들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그래야만 학생들이 장소·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지역자원을 활용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 현재 여러 기관에서 나뉘어 진행되고 있는 각종 교육프로그램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돼야 한다.

즉 시·군 지자체에 교육지원센터를 만들어 통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여성인턴제를 활용한 보육교실 운영도 충북도의 지속적인 재정지원으로 계속 유지돼야 한다. / 신성우

sungwoo@jbnews.com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