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급증세 정부정책 뒷받침 못해

맞벌이 부부들의 '방학전쟁'이 되풀이 되고 있다. 방학때마다 자녀들을 위한 '보육전쟁'을 겪으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맞벌이 부부의 급증세에 맞춰 정부의 보육정책도 시급히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여성의 사회참여가 확대되고 있는 현 추세와 이에따른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 사회·복지단체들의 보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등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 보육정책은 이같은 사회적인 추세를 반영하지 못해 학부모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모가 일용 근로자로 일해 가정형편이 넉넉치 않은 경식(초등학교 3년)이 형제는 부모가 출근하고 나면 동네에 있는 지역아동센터로 간다. 다른 친구들처럼 학원에 다닐 형편이 안되기 때문에 이곳을 '방학나기 장소'로 애용하고 있는 것이다.

방학때만 되면 지역아동센터는 경식이 형제처럼 가정형편이 어려운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 자녀들로 북적 거린다.

회사원 장모씨(35·여)는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경호를 이웃에 사는 보육 아줌마에게 부탁하고 출근한다. 그러나 장모씨는 하루종일 "아이가 집에서 제대로 놀까. 혹시 놀다가 안전사고는 당하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을 내심 떨치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 윤모씨(43·여)는 방학때만 되면 자녀들에게 들어가는 학원비로 허리가 휜다. 아이들만 집에 놔둘 수가 없어 할수 없이 학원 수강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평소에는 영어학원과 보습학원 2∼3개 학원 수강에만 그쳤지만 방학인 1∼2월에는 피아노학원과 미술학원에 학습지 구독까지 5∼6개로 늘렸다. 2명의 자녀에게 쏟아 붓는 학원비만 한달에 100만원이나 된다. 이같이 맞벌이 부부들이 자녀들의 방학때만 되면 '보육전쟁'을 치르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방학동안에는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능력에 따라 자녀들의 교육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대한 사회적인 안전망 확충이 절실한 실정이다.

경제력이 넉넉한 중산층 이상 부모들은 자녀들을 방학캠프에 참가시키거나 학원순례에 나서게 하는 반면 경제력이 빈약한 저소득층 자녀들은 친인척집 또는 지역아동센터 등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학부모들은 방학기간중에 자녀들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떨쳐 버리지 못하고 있다.

학부모 윤모씨는 "아이들의 방학이 시작되면 보육전쟁을 치르느라 가족 모두 힘들어 한다"며 "정부나 공공기관, 그리고 사회복지시설들이 방학중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늘려 줘 자녀들을 안심하고 맡기고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장모씨는 "여성의 사회참여가 갈수록 확대되고 이에따른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보육정책은 국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중대하게 결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