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일화된 아파트 건설은 또 다른 공동화 초래

글 싣는 순서
상. 도심정비 추진 현황
중.'회색도시'전락 우려
하. 해결방법은 없나
공동화된 구도심의 재생을 위해 청주시가 도시·주거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재개발 지역 주민들은 도심 공동화 해소를 위해서는 노후 불량단독주택과 밀집지역에 압축적이고 짜임새 있는 공동주택을 건축해 외곽 택지개발지역으로 떠난 인구의 유턴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도심재개발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재개발을 추진하고있는 사직동 일원과 북문로 2구역. / 사진부
이들 주민들에 따르면 외곽지역의 과도한 택지개발사업으로 상주인구가 감소돼 도심공동화가 가속화됐고, 공공시설의 이전으로 유동인구 감소, 노후 불량주택 밀집으로 인한 주거환경이 열악 등이 구도심 공동화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

이에 따라 주민들은 공동화된 구도심을 고층아파트로 재개발 해 인구 유턴을 추진해야 하고,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을 위해 도심의 빈집, 빈터, 노후불량주택을 재개발한 이후 변두리 신규개발을 추진하는 성장관리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또 이미 법적 검토를 마친 청주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라 모든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돼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훈 청주시 도심공동화해소대책위원장(우암1구역 주택재개발추진위원장)은 "도심공동화 해소를 위해서는 공동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방안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하다"며 "구도심이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컴팩트 시티(Compact City·압축적 도심)로 재생될 경우 인근 지역까지 상권이 활성화 돼 인구의 유턴을 이뤄낼 수 있고, 공동화는 자연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현재 주거지역으로 구분돼 있는 곳에는 주민들이 원하는 아파트를 건설하고, 상업지역에는 상업시설을 건설해야 한다"며 "문화·역사시설 등은 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의 거리 등을 확대해 별도 추진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부 도시공학자들은 도심 전체의 정체성을 놓고 테마별로 장기적 계획을 수립해 도심을 재생시켜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건폐율을 법정 60.0%에서 20%대로 낮춰 녹지공간을 높인다는 일부 계획은 아파트 단지내의 녹지가 확보되는 것이지 공공성을 지닌 녹지가 생겨나는 것은 아니며, 아파트 위주로 재개발·재건축이 진행될 경우 상주인구만 늘어날 뿐 유동인구 증가요인을 충족하지 못해 시간이 지나면 또다시 공동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들 학자들은 진정한 공동화 해소와 지속가능한 도심을 만들기 위해서는 유동인구를 끌어들일 수 있는 요인을 갖춰야 하며, 이는 대규모 공원이나 문화시설 등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들 학자들은 공동화로 신음하고 있는 구도심을 살리기 위해 방법을 강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획일화된 아파트 건설만이 구도심을 재생시킬 수 있는지는 보다 심도있게 논의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대 도시공학과 반영운교수는 "뉴욕의 센트럴파크나 런던의 하이드파크 같은 공원이 청주에 생겨난다면 유동인구는 도심으로 몰릴수 밖에 없다"며 "청주시가 재생코드를 갖추고 도심을 재정비해 지속가능한 도심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