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강중 / 대전주재
대전시를 출입한지도 1년 반을 지나고 있다. 기관을 출입하는 기자들은 공보실과의 밀접한 관계속에 취재활동을 벌이는 게 상례다.

그래서 기자들은 공보실 내지 홍보실에 대한 비판기사를 가급적 자제하는 것을 묵계로 여긴다.

그러나 대전시의 공보 행태를 보면 시장을 위한 홍보인지, 시민을 위한 공보인지 알 수가 없다. 그동안 시장의 속내를 잘 읽어 낸 4명의 공보관이 승진과 영전한 것을 보면 보면 전자쪽에 무게가 실린다.

공보라는게 무엇인가. 시청 등 각 기관이 공공의 목적으로 일을 하면서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활동을 뜻한다.

요즘 신문 방송등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공보는 중요한 몫이 됐고 기초단체들도 보도활동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는 어떠한가. 행정오류 의혹에 대해 기자들이 확인이라도 할라치면 어떤 간부는 '왜 시비 하냐'고 폭언하고 억대 뇌물 수뢰 간부는 자성 보다 '이지메(왕따)' 운운하고 있다.

또 모과장은 부동산 투기의혹으로 행자부 감사를 받고 있다는 기사와 관련, 중징계를 받고도 해당기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기도 했다.

이런 일들을 취재하는 기자는 사실여부에 대한 검토, 고민 끝에 기사를 작성한다.

지방행정을 지켜보면 중앙정부만큼 복잡다단한다. 그래서 지방행정도 일을 하다보면 실수가 따른다.

간혹 이런 것들이 언론에 지적되면 곧추세워 시민의 불편이 없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언론 입장에선 던져주는 보도자료에만 의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공보실은 따끔한 기사라해서 스크랩을 누락하거나 배달신문을 감춰 눈과 귀를 가린다면 이는 시정과 시장을 망치는 것이다. 한낱 행사위주 단신성 기사를 스크랩 해 1면에 연일 보고한다면 5공시절 '땡전뉴스' 와 다를 게 없다.

공보는 시정과 결과물을 150만 시민과 4천여공무원에게 '널리 알려' 행정효율의 촉매로 삼아야 한다. 비판은 외면하고 홍보만 한다면 언로(言路)는 막힌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