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경쟁으로 채산성 악화… 업체부도 '불보듯'

속보=지역 건설업계가 벼랑끝에 내몰리는 등 '사면초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전국적인 아파트 미분양 물량 급증에 이어 건자재값 폭등, 최저가공사 확대 방침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심각한 경영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자칫 자금 수요가 몰릴 경우 부도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는 정부의 최저가 낙찰제 공사 확대 등 정부방침에 대해 거센 반발을 보이고 있다. <본보 3월 28일, 31일 4월 1일, 2일 7면·기획시리즈 '지역 건설업계 진퇴양난', 4월 3일자 7면 보도>◆최저가 낙찰제 대상공사 확대 반발 거세=지역 공공공사 수주로 연명하는 지방 중소건설업체는 당장 부도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대부분 도내 지역 건설사들은 정부나 지자체, 공기업 등에서 발주하는 공사로 먹고 사는 형편인데 정부가 입찰가격을 낮게 써낸 업체에 시공을 맡기는 최저가낙찰제를 현행 300억원 이상에서 100억원으로 확대키로 해 출혈수주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 중앙회는 지난 2일 전국 이사회를 열고 각종 토론회와 대정부 및 국회 건의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최저가 낙찰제의 폐지 또는 확대방침의 철회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박연수 도회장은 "지방업체들은 대부분 공공공사 물량으로 먹고사는 형편인데 정부가 최저가 낙찰제를 확대할 경우, 지역 중소업체의 출혈수주가 극에 달할 것"이라며 "최저가 낙찰제 확대 저지는 단순한 업계의 수익구조를 지켜내기 위한 논리가 아닌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말했다.박 회장은 또 "지난해 도내에서 공사 한 건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절반이 넘을 정도로 업체 수는 많고 공사 물량은 없는데 최저가공사 대상마저 확대한다면 문닫는 업체가 속출 할 것"이라며 "최저가 확대는 정부가 스스로 덤핑을 조장하는 것이고 부실공사로 이어질 수 있어 나중에 막대한 운영관리비가 국민의 혈세로 낭비될 수밖에 없으며, 지금 당장 예산을 절감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며 정부정책에 맞섰다.

◆대형 건설업체도 위기감 동감=건설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던 대형 건설업체도 최근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미분양 물량이 워낙 많이 쌓이다 보니 경영압박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정부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형업체 텃밭이었던 턴키공사 입찰 방식을 변경, 출혈경쟁을 부추키고 있다.

대형건설사의 한 임원은 "원래 턴키공사는 설계점수와 가격을 합산해 시공업체를 선정하는데 지금은 설계평가를 한 후 업체를 한번 걸려 낸 뒤 통과업체만을 대상으로 가격경쟁을 붙인다"면서 "따라서 기술보다는 가격을 얼마나 낮게 써 내느냐가 관건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건협 권홍사 중앙회장은 "대형사들도 분양가 상한제로 수익성을 기대할 수도 없고 미분양이 크게 늘어나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식'의 경영을 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건설경기 부양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경제 전반에 엄청난 후유증을 몰고 올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고용창출 등을 고려할 때 정부가 나서서 활성화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민우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