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초광역개발권

'口자형 → 日자형 → 目자형' 추진

정부의 지역발전전략은 4대 초광역개발권과 5+2광역경제권, 기초생활권역으로 요약된다. 이 가운데 4대 초광역개발권은 남해안과 서해안, 동해안 등 3대 해안벨트와 남북교류·접경벨트를 'ㅁ'자형으로 연계·개발하는 사업으로 현재 중부내륙지역만 제외돼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15일 정부가 '4대 개발축을 중심으로 내륙축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초광역개발권의 내륙첨단산업벨트 추가 설정에 청신호가 켜졌다.

도는 올해 10대 현안으로 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지역발전정책을 선정하고 세부 추진과제로 내륙초광역개발권의 구체화, 충청 광역경제권 사업, 내륙지원특별법 제정,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을 포함시켰다.

내륙초광역개발권 중 하나인 첨단산업벨트의 설정은 전국 4대 초광역개발권에서 전국 유일하게 제외됐던 충북도 숙원사업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충북은 지난해 7월 제1차 균형위 발표시 전국 초광역개발권에서 제외됐지만 그동안 중앙부처 방문과 정책간담회, 궐기대회와 세미나 등을 개최하며 추가 설정 방침 발표(9월 10일), 내륙축 검토 방안 발표(12월 15일)라는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

도 일각에선 이같은 정부 방침의 변화를 '無에서 有를 창조한 반전 드라마'로 해석하기도 한다.

내륙 초광역개발권이 추가 설정되면 SOC 건설비용의 국비확보가 용이해져 충북 주요현안에 대한 정부의 지원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지난 12일 최상철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의 충북 강연 내용은 충북의 기대감을 고조시키기에 충분했다.

이날 최 위원장은 'MB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방향과 전략'을 소개하며 기존 4대축에 내륙첨단산업벨트를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중장기 프로젝트 검토대상으로 제시한 충북지역의 주요과제는 중부권과 북부권에 해당하는 내륙 첨단산업벨트와 충청내륙고속화도로 건설, 태생국가산업단지 조성 등이다.

내륙첨단산업벨트가 추가 설정되면 BINT(오송·오창)-혁신도시(진천·음성)-태생국가산단(음성)-기업도시(충주)-한방바이오(제천)를 연결하는 성장거점 클러스터가 구축돼, 21세기 충북의 성장축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마치 10~20년 전에는 미개발지였던 오송과 오창이 충북의 중핵지대로 부상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내륙첨단산업벨트는 'post 오송·오창'의 역할을 기대케 한다.

도는 정부가 올해 상반기 내륙초광역개발권을 구체화 하기로 함에 따라 일단, 중장기 프로젝트 검토 대상의 충북 주요 과제 반영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토연구원에 구성된 '내륙벨트 지원 TF팀'을 중심으로 강원·대전·충남·전북 등 5개 시도 연구원과 함께 내륙첨단산업벨트 기본구상안을 오는 3월까지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초광역개발권의 확정은 균형위가 벨트범위와 특성화 개발방향, SOC구축, 재원대책을 담은 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나면, 4~5월 중앙 심의를 거쳐 5월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도는 내륙 초광역개발권 추가 설정과 관련, 현재 국토해양위에 계류중인 내륙권발전지원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 김정미

■ 내륙초광역개발권 충북도 요구안(왼쪽)과 균형위 제시안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