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살리기 공사현장 수질오염 대응

금강유역환경청(김원민)은 금강살리기 사업이 본격적으로 착공됨에 따라 '금강수질감시방제센터'를 발족하고, 환경적 안정성 확보 및 수질오염사고 방제를 위한 활동에 돌입했다.

금강환경청은 금강살리기 사업공구 지역이 넓고 공사현장이 산재돼 있어 수질오염사고에 대한 종합적 대응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공사구간내의 지자체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수질오염사고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금강수질감시방제센터'를 발족시켰다.

'금강수질감시방제센터'는 유역관리국장을 센터장으로 3개반(기획·감시반, 평가관리반, 방제반) 6개팀(환경영향평가관리 자체점검·합동점검팀, 배출사업장 및 환경기초시설 시설관리팀, 하천순찰팀, 측정분석팀, 수질오염사고수습팀)으로 구성돼 있다.

센터의 주요 역할은 물환경연구소, 민간전문가, 공무원으로 사후관리조사단을 구성해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관리 여부를 점검하고, 지자체, 민간자율환경감시단 등과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수질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감독 및 하천순찰을 실시하며, 하천수질자동측정망 11개소 및 구축 예정인 이동형측정장비를 활용한 수질오염 통합감시 및 예보시스템을 구축해 수질오염사고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이와관련 금강유역환경청 환경감시단은 기존의 광역시·도로 구성된 '금강환경감시협의회'를 금강살리기 사업구간 내 13개 시·군·구로 확대 구성하고, 4일 금강유역환경청에서 회의를 개최키로 했다.

그동안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단속과 관련, 대전시, 충북, 충남으로 구성, 운영되던 "금강환경감시협의회"를 금강살리기 사업구간인 대전시 대덕구, 부여군, 연기군, 청원군 등 13개 시·군·구를 포함 확대 구성한 것이다.

이번 '금강환경감시협의회'회의에서는 사업구간 하천 좌우양안 10km가 환경감시벨트로 지정됨에 따라, 감시벨트 내 배출사업장 환경관리 강화 방안, 비상연락체계 구축, 지자체 및 민간자율환경감시단 등과의 합동단속 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박상준 sjpark@jbnews.com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